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산풍속도는 19세기 말 원산을 비롯한 개항장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화가 기산 김준근(箕山 金俊根, 생몰년 미상)이 그린 것으로 알려진 개항장 수출화이다. 이 작품의 주요 소비자는 조선을 찾은 외국인들로, 이 작품에는 개항기 조선의 각종 풍습과 생활이 반영되어 있다. 이 가운데 당시 공예를 주제로 한 작품들은 개항기 조선의 공예기술과 작업풍경, 수요층에 대한 단적인 정보들을 제공한다. 이 글은 기산풍속도에 내재된 내용들을 단서로 개항기 유기의 제작과 기산풍속도와 공통된 수요층이었던 외국인들의 소비와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개화 이후 조선의 개항장과 주요 도시에는 다양한 국적과 목적을 가진 외국인들이 들어왔다. 이들은 각자의 목적에 맞춰 활동을 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이러한 수요 상황이 반영된 기산풍속도는 당시 공예에 대한 다양한 정황과 내용을 담고 있었다. 특히 기산풍속도에 표현된 도구와 작업과정에 대한 면밀한 묘사와 당시 외국인들의 저술서는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유기의 제작과 판매, 그리고 사례를 통해 외국인들의 소비경향과 인식을 알려준다. 당시 유기는 방짜유기와 주물과 방짜의 요소를 혼합한 반방짜유기, 주물유기가 평안도 납천, 경기도 안성 등 전국 각지에서 동시에 성행했는데, 외국인들은 주로 주물유기를 선호했다. 이 글에서는 주물과 가질, 두 장면으로 묘사된 기산풍속도의 유기를 주제로 한 작품의 분석과 당시의 문헌을 통해 작품에 묘사된 작업이 주물유기 또는 반방짜유기의 제작공정임을 파악하였고, 당시의 외국인들의 유기 수요와 어느 정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제작기술과 현재 전승되고 있는 제작기술이 거의 동일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외국인들의 저서를 통해 당시의 유기가 수집이나 민속 연구를 위한 목적의 구매는 물론, 실수요를 위한 구매도 동시에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산풍속도의 공예 주제 작품들이 당시 외국인들의 공예품 수요 성향과 어느 정도 일치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외국인들의 저서와 비교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유기공예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 글에서 다루지 않은 기산풍속도의 공예에 관련된 다른 주제의 작품 역시 이와 같은 정황이 내포되어 있어, 앞으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은 당시의 풍속을 다룬 회화작품을 바탕으로 공예사적 접근법에서 제작과 소비, 인식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미흡하지만 개항기라는 시대적 특수상황 속에서, 당시 조선에 입국한 외국인들의 공예에 대한 다양한 시선과 이를 소비하는 모습을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었던 조선 공예에 대한 인식과 소비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 이 글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Gisan Genre Paintings contains paintings made by Gim Jun‒geun (pen‒name: Gisan), who carried out activities as a painter mostly in or around newly opened ports including Wonsan during the era of the country’s door opening towar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Paintings of these types were mostly bought by foreigners visiting the country. They depict customs of daily lives of people during said era. Those focusing on the handicrafts of that era tell us what handicraft skills were like, how the painter engaged in the work, and who bought paintings of these types in that era. This study examined how foreigners bought these paintings and how they viewed them, along with information on brassware, at that time based on what are contained in these paintings. Following the era of door opening, many foreigners with diverse nationalities and purposes of visit swarmed newly opened ports and major cities in Joseon. These foreigners engaged in diverse activities including collection of materials about the areas they were interested in. This painting tells us how interested art collectors were in obtaining artworks, along with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 handicrafts of that era. Tools and minute description about the working process contained in this painting and relevant books authored by foreigners in that era tell us how brassware were made and sold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and provide information on foreigners’ consumption trend and view of artworks like these. At that time, there were three types of brassware: bangjja (those made by beating with a hammer); those made by casting, and; half‒bangjja (those made with a mixture of the two methods). Napcheon and Anseong were major areas of production of brassware made by casting among other places. Foreigners favored these types of brassware. This study analyzed painting pieces included in said album and which portray scenes of casting and trimming the surface and adding hue to the color of objects and found that said work was part of the casting or half‒bangjja work based on literature of the era. This study saw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production skills used currently and those used at that time. According to books authored by foreigners, brassware was purchased for collection associated with folk research or use in people’s daily lives. The books also tell us that the handicraft pieces contained in this painting were generally those favored by foreigners. This study focused on brassware handicraft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pieces in this painting associated with other subjects. This study focused on production, consumption, and people’s view of brassware from the perspective of handicraft history based on paintings associated with social customs at that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attempted to get a grasp of foreigners’ view of handicrafts made in Joseon and purchasing pattern in an extraordinary situation of the country, i.e., era of door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