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부터 중노년에 이르는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신문 매체 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을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대체로 일반 독자들은 한자어 난도가 높을수록 한자어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중노년층이 다른 세대에 비해 한자어의 뜻을 이해하는 정도가 낮았고 청장년이 한자어 이해도가 가장 높았다. 청소년의 경우 한자어의 난도가 높아질수록 한자어 이해도가 큰 폭으로 줄었다. 다음으로, 대체로 한자어의 난도가 높을수록 시선의 고정 빈도가 높고 고정 시간이 길었다. 이를 세대별로 살펴보면 대체로 중노년층의 시선의 고정 빈도가 높고 고정 시간이 길었으며, 청소년의 경우 난도에 따른 고정 빈도와 고정 시간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를 바탕으로 신문 매체 텍스트를 중심으로 세대별 어휘 교육과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신문 매체 텍스트 읽기 양상을 한자어의 난도와 세대별 양상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세대별 어휘 교육과 문식성 교육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는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general readers ranging from adolescents to adults to investigate their understanding of Sino-Korean words in news media texts using an eye-tracker, and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vocabulary education that improves literacy. When the difficulty level of words was higher, the rate of understanding Sino-Korean words lower. Especially, old age got lowest level. The total dwell time of pupils was longer on Sino-Korean words of a high difficulty level, and fixation was more frequent. When the difficulty level of words was higher, the revisit count and rate were also higher. This study analyzed the reading pattern of news media texts in depth, and verified the influence of difficulty levels of Sino-Korean words on text comprehension. Therefore, this is a foundational study for establishing a database for future vocabulary and literac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