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사회과 논쟁 문제 수업과 하버드 모형의 문제점을 토의 민주주의 이론과 경험에 기초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배심원단 토의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하버드 모형은 중심으로 한 사회과 논쟁 문제 수업은 수업 목적의 경직성과 더불어 배심원단 토의의 한계를 지니고 있어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토의 민주주의 이론과 경험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첫째, 사회과 논쟁 문제 수업의 세부 목표를 논쟁 문제 해결에 두는 것이 적절하가에 대해서 논의하여, 때론 무리한 논쟁의 종결은 오히려 갈등을 고조시키거나 의견의 극단화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수업 목표의 다양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존의 사회과 교사 역할 유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논쟁 문제 수업의 다양한 국면에서 교사가 여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면서, 적어도 집단 토론 과정에서는 조정자 및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In this study, w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controversial issue instruction and Harvard model according to the theory and experience of deliberative democracy. Especially we find that Harvard model which was made on the basis of jury discussion have some problems such as rigidity of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jury’s dilemma. And from the perspective and experience of deliberative democracy, we propose two kinds of suggestions. First, we examine the adequacy that the objective of controversial issue instruction is to resolve the controversial issue itself and point out that the rash conclusion of debate raise conflicts and cause extreme opinions. And then we propose the diversificati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The Second, we review critically the teaching types of controversial issue instruction and claim the need that teachers make different roles in the various stages of controversial issue instruction. And we emphasize that teachers play the role of moderator or facilitator in the process of group dis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