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언론이 형성한 수급자 담론 구조와 수급자 담론에서 재현하는수급자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배담론과 저항담론간의 ‘담론투쟁’에 주목하여 수급자에 대한 신문 기사의 비판적 담론분석을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언론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방식으로 수급자 특성을 재현하며 수급자를 우리와 다른 타자로 구별한다. 수급자의 부정성을강조하기 위해서 ‘부정수급자 담론’과 ‘부정적 준거점 담론’을 형성하여 문제의 원인을 수급자 개인에게서 찾고 일부 수급자의 부정성을 수급자 집단전체의 특성으로 확대한다. 또한 수급자의 긍정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기부자 담론’과 ‘성공신화 담론’을 형성하여 탈수급자를 성공한 이들로 재현하며 수급자를 실패자로 인식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성한다. ‘기부자 담론’과 ‘성공신화 담론’에서는 노동중심적 복지국가에서 강조하는 자조와 자립을 권장하며 수급은 국가에 진 빚이므로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담론을형성한다. 이와 같은 담론의 질서는 보수신문에서는 비교적 변형없이 유지되지만진보신문에서는 개별 담론들이 사회적 지배력을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은폐된 담론화된 진실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담론의 전환을 모색한다. 수급자담론 분석을 통해 지배담론이 형성한 수급자 특성의 왜곡과 과장 문제를 공론화하여 수급자에 대한 경직된 인식을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를 가늠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discourse about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as structuralized. Newspaper reports are used as analytical resources. The study of newspaper reports in the press is one of major tasks of discourse analytical media research. Most of our social and political knowledge and belief about world derive from dozen of news reports we rea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First of all, the press realizes recipients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n order to classify recipients into ‘us’ and ‘others.’ ‘Fraud discourse’ and ‘negative criteria discourse’ formed to emphasize negativity of recipients look for the causes of poverty from individual recipients. On the other hand, ‘donors discourse’ and ‘success story discourse’ emphasizing the positivity of recipients are superficially evaluated to form positive discourse about recip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