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성취목적 및 학습몰입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고, 학습몰입 수준(고⋅저)에 따른 두 집단 간 기본심리욕구와 성취목적 변인들은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들 변인들이 학습몰입 수준(고⋅저)에 따른 두 집단을 예측해 주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권에 소재한 4개 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 총 906명 중 학습몰입 수준(고⋅저)에 따른 두 집단을 구성하는 555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심리욕구, 성취목적 및 학습몰입 변인 간 상호 상관을 알아 본 결과,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는 성취목적의 하위요인인 숙달 요인과 수행접근 요인 그리고 학습몰입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습몰입 수준(고⋅저)에 따른 두 집단 간 변인들의 차이를 일원 다변량 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학습몰입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성, 유능감 및 자율성과 성취목적의 숙달과 수행접근 변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와 성취목적 변인들을 예측변인으로, 학습몰입 수준(고⋅저)에 따른 두 집단을 종속변인으로 선정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본심리욕구의‘유능감’요인과 성취목적의‘숙달’요인과‘수행접근’요인은 학생들의 학습몰입 증진에 도움이 되며, 성취목적의‘수행회피’요인은 학습몰입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몰입 증진 방안을 강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adolescents’ learning flow on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hievement goals. The subject were 906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These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being either high or low on learning flow scale by using high 30% and low 30% splits. Overall, the subjects within each of the two learning flow groups were 555 students. Pearson's correlations indicat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i.e.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achievement goals(i.e. mastery goals, performance approach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arning flow.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he high learning flow group had higher basic psychological needs(i.e.,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achievement goals(i.e., mastery goals, performance approach goals) than the low learning flow group.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88.1 percent of the students in the two groups were accurately classified in respect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hievement goals.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oretical implications in schoo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