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찰관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 공정성과 경찰의 범죄억제 간의 인과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경찰관의 조직 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을 강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직 공정성의 하위요인인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과 경찰의 범죄억제 효과성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지원인식이 조직 공정성과 경찰의 범죄억제 효과성 간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은 경찰이 범죄억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개별 경찰관이 느끼는 조직의 공정성 수준을 높여야 할 뿐만 아니라 조직지원인식 수준도 함께 향상시킬 때 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조직 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경찰관의 조직 기여도에 대한 인정방법 개선과 인정에 따른 보상의 적절성 제고, 다양한 의사소통 매체를 통해 고충상담제도 적극 활용, 경찰관의 능력발휘나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기회 확대 그리고 유연보직제도 도입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 Organizational justice consists of 3 factor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This research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 The number of subject of the study is 285 police officers taking official education programs at Police Training Institute. The research variable in model of this study is analyzed by Baron & Kenny(1986)’s mediation method, the model could be estimat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with 3 steps regarding examination of medi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 As a result, the research presents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