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During the 1860s and 1870s, the Qing Dynasty of China has faced unprecedented ruling crisis resulting from a series of severe challenges such as the Opium Wars and the Taiping Rebellion. Under such circumstances, how did the Joseon Dynasty perceive and face Qing’s crises of governance? How were the Sino-Joseon relations like at that time? This paper explored government publications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Records of Daily Reflection (日省錄) and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承政院日記), and collective works of related personages such as Collected Works of Unyang (雲養集), Collected Books of Huanzhai (瓛齋叢書), Collected Works of Chungam (重菴集), Collected Works of Lee Geon-chang (明美堂集) and Collected Works of Hwang Hyeon (梅泉野錄) for the changes of Joseon’s perceptions of the Qing Dynasty by way of vertical comparison in the process of narrative analysis. This paper argues that the Joseon Dynasty felt the same sense of crisis faced by the Qing Dynasty’s inner challenges, and acknowledged that their fates were closely intertwined, and the traditional Sadae (事大) relationship faced destabilisation from the Joseon people’s increasing demands for a sense of respect.


1860년대와 1870년대 중국의 청 왕조는 아편전쟁과 태평반란과 같은 일련의 심각한 난관들로 인해 전례 없는 통치 위기에 직면했다. 이런 상황에서 조선 왕조는 청의 통치 위기를 어떻게 인식하고 직면했을까? 그 당시 중국-조선 관계는 어떠했나? 본 논문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일성록(日省錄), 승문원일기(承文院日記)와 같은 정부 간행물과 김윤식의 운양집(雲養集), 박규수의 환재총서(瓛齋叢書), 김평묵의 중암집(重菴集), 이건창의 명미당집(明美堂集) 및 황현의 매천야록(梅泉野錄)과 같은 관련 인사들의 전집을 살펴보면서 서술 분석 과정에서 수직적 비교 방법을 사용해서 청나라에 대한 조선의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조선은 청나라가 내적 난관으로 인해 직면했던 위기감와 동일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양국 운명이 밀접하게 얽혀 있다고 인정했다. 또한 존중심에 대한 조선 백성의 요구가 증가하여 전통적 사대(事大)관계를 불안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