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신경과학은 행복과 불행을 서로 배타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는 ―아니 공존해야만 하는― 것으로 본다. 이 점은 쾌락과 고통을 느끼는 뇌 부위가 다르다는 사실로 확인된다. 이로써 신경과학은 행복을 새롭게 규명할 수 있었다. 신경과학에서는 행복의 반대가 (불행이 아니라) ‘우울’이다. 우울의 지양 상태가 곧 행복이다. 우울은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해 초래된 질병이다. 이 질병은 항우울증 제제의 개발로 치료될 수 있다. 여기서 행복도 인공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이념이 나왔다. 이러한 인공행복의 추구는 오늘날 헌법적 가치와도 잘 부합하는 것처럼 보인다. 헌법은 인간의 행복을 기본 권리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인공행복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자연적 삶을 의료화하고, 행복을 한갓 의료의 대상으로 만들어 버릴 것이다. 그것은 행복의 기준이 (윤리적 덕목의 실천이 아니라) 건강과 병리가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글은 이렇게 변화된 행복의 의미에 관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인공행복이 만들어지는 신경과학적 과정에 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인공행복의 근본 성격을 규명할 것이다. 이러한 인공행복에 의존적인 삶의 특징이 ‘의료화’이다. 이에 대한 반성과 함께 우리는 ―끝으로― 행복윤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에 관해 숙고할 것이다.


Today, it is known to us that pleasure and pain are felt in different brain regions. This is the basis for neuroscience to see the opposite of happiness is not unhappy, but nervous depression. It also means that you can create happiness while avoiding depression. Depression is a kind of disease caused by an imbalance of neurotransmitters and hormones. This disease can be treat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anti-depression agents. From here the philosophy of ‘Artificial Happiness’ originates, and the pursuit of artificial happiness seems to be well in line with constitutional values ​​today because the Constitution has defined human happiness as a basic right. However, excessive dependence on artificial happiness will result in the medicalization of our natural life. It looks only for happiness as the object of health care. It means that the standard of happiness is health and pathology, and not the practice of moral virtue. We will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and changes in happiness in this way. To this end, we must first review the scientific process of how artificial happiness is made. Next we will examine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artificial happiness. This feature of the lives that depend on artificial happiness is a 'medicalization'. Reflection of this finally leads to finding a new paradigm of happiness et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