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76년 서독 정치교육 종사자들에게서 발원한 보이텔스바흐 합의는 학문적 내용의 일치 선언도 아니었고 법적 구속력이 있는 정치적 결정도 아니었다. 정치교육의 종사자들이 가슴을 열고 토론한 민주적 토론 문화의 찬연한 성취였다. 세 원칙, 강압성 금지와 논쟁성 재현과 학습자 이익 원칙은 최소합의였다. 보이텔스바흐 합의는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서독 학교 현장에서 점차 수용되었다. 보이텔스바흐 합의는 정치교육의 규범적 원칙이 되었기에 학교나 공적 영역의 교육 현장에서 정치적 일방성과 독선 및 도구화를 막을 도구로 발전했다. 보이텔스바흐 합의에서 나온 ‘논쟁 재현 원칙’의 수용이 없다면 학생 중심의 교육과 다원적 관점도 역사교육에서 제 힘을 발휘하기가 어렵다.


The heterogeneity of ideas made it necessary to find a general guideline for civic education in Germany, on which every teacher of politics or a related subject can rely. The general consensus of the methode for the civic education was maded 1976 in the small swabian city of Beutelsbach. This consensus never came to ballot but nearly all representatives of civic education in Germany basically agree with it. The Beutelsbacher Consensus consists of three principles, namely prohibition against overwhelming the pupil, treating controversial subjects as controversial, giving weight to the personal interests of pupils. Without the three principles, neither can there be the education of pupil-orientation nor the multi-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