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기덕 감독은 영화 <피에타>에서 돈과 폭력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참회와 자비의 문제까지 거 론하고 있다. 강도는 미선과의 시내 외출을 통해 광장에서 광대로부터 왕관과 칼을 부여받음으로써 왕위 대관식을 치르지만 미선과 청년과의 다툼으로 인해 스스로 왕관과 칼을 내던지고 폐위의 길을 밟는다. 바흐찐의 카니발 이론이 담지하는 전복의 서사는 강도의 대관과 탈관에 그대로 적용되지만 김기덕 감독은 시내 외출을 통해 미선과 강도, 다리가 골절된 채무자까지 모두 반전의 계기를 맞이하 게 함으로써 보다 더 큰 전복의 서사를 구현하고 있다. 미선은 강도에 대한 복수심으로 투신함으로써 강도에 대한 자비의 주체가 될 수 없고, 강도도 역시 참회 이후 자살함으로써 고인이 된 미선으로부터 자신의 사후에 있을지도 모를 자비를 기약하지 못한다. 하지만 김기덕 감독은 강도에 대한 구원을 명백히 함으로써 자비를 재조명한다 . 복수에서 비롯된 미선의 희생은 감독에 의해 전복되면서 자비로 포장되지만 이는 철저히 김기덕 감독에 의해 재정의된 자비다. 자비와 구원 역시 미선과 강도, 즉 인간에 의해 행해지는 <피에타>에 신이 들어설 자리는 없다. 이처럼 영화 <피에타>는 성스러운 모친 에 의한 자비가 아니라 인간에 복수에 의한 자비와 구원의 길을 열어놓고 있다.


Pietà, a film directed by Kim Ki-duk, explores not only the themes of money and violence, but also repentance and mercy. In the film, Kang-do, while he is in town with Mi-sun, holds a coronation ceremony with a crown and a sword he received from a clown. However, he decides to dethrone himself after quarreling with Mi-sun and a young man. The narrative of subversion elaborated in Bakhtin’s theory of the carnivalesque can be applied to Kang-do’s crowning and dethroning, but Kim achieved a greater narrative subversiveness by introducing a dramatic reversal for Mi-sun, Kang-do and even the debtor with the broken leg. Mi-sun commits suicide as an act of revenge against Kang-do, and thus cannot be the subject of mercy. Kang-do also ends his life after repenting and does not know if he will gain mercy posthumously from the late Mi-sun. Here, the presence of mercy is evidenced by Kim through the paradoxical redemption Kang-do receives. Mi-sun’s sacrifice, which was committed out of vengeance, undergoes subversion and is transformed into mercy by the director, who thereby gives a completely new meaning to the concept of mercy. There is no place for God in Pietà, where mercy and redemption are carried out by humans, Mi-sun and Kang-do. The film Pietà perversely paves the way for mercy and redemption by building on the human drive for revenge, deviating from the sacred image of a mother cradling her 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