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율곡의 성리설과 수양공부론의 특징 및 상호연계성을 고찰함으로써 율곡사 상의 특징과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율곡의 심학적 수양 체험의 자취를 찾아 그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이를 수행하였다. 율곡의 성리설은 리의 작용성을 부정하는 ‘리 무위의 리기설’과 리발 영역의 독자성을 부정하는 포섭적 심성론의 특징을 지닌다. 이는 인간의 도덕 생활의 책임을 리(理)가 아 닌 기(氣)의 책임으로 규정하는 입장으로서, 기(氣)인 마음의 의식적인 노력이 중시되는 궁리설과 기(氣)인 마음을 맑게 깨어있게 하며 안정시킴으로써 리를 인식 실현케 하는 ‘기 수양을 중시하는 거경설’로 나타난다. 분수지리에 대한 궁리가 중시되고 이발 공부에 치중된 이러한 공부론은 리발을 부정하 는 그의 성리설과 미발 체험의 한계를 자각한 그의 독특한 수양체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 라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그의 공부론에 대하여 논자는 이발 행위의 완성에 초점을 둔 ‘지행론적 체계의 이발 위주의 공부론’으로 이해한다.


This is a study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 of Xin-xue(心學) in Yulgok’s theory of Xing-li(性理說) and theory of moral culture. In order to prove my claim above, I examined Yulgok’s theories of Xing-li(性理) and moral culture from a viewpoint of the Xin-xue(心 學). It's contents are as follows. Yulgok’s theories of Xing-li(性理) are composed of theory of li(理) that denies the action of li(理) and theory of mind that denies the self-reliance of li(理). This is a standpoint that the responsibility of morality is returned to the action of qi(氣). So he put emphasis on discriminative thinking(窮理) rather than cultivation of the mind(居敬) in his studies. And he put emphasis on correcting bad qi(氣) and cultivating good qi(氣) in his theory of Ju-jing(居敬). Such a theory of moral culture(修養工夫論) has yifa(已發)-centered characters of Gongfu(工夫). And it was made by his own peculiar experience that realized the limitations of experience of Not yet Issuing of Feelings(weifa; 未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