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몽골불교 성악곡의1) 일종인 구르 도(гүр дуу, 잠언가, 箴言歌)의 고악보(古樂譜)에서 민요의 일종인 오르팅 도(уртын дуу, long song, 長歌)와 동일한 곡목이 발견되어 상호 연관성을 일고(一考)하는 것이 목적이다. 몽골불교 성악곡인 구르 도와 오르팅 도의 상관성에 관한 선행 연구로서 몽골의 음악학자 일. 에르덴치멕(Л. Эрдэнэчимэг)은 몽골의 고승(高僧) 롭상노롭셰랍(Лувсанноровшэйрав, 1701-1768)이 구르 도를 만들었을 당시 몽골 민요의 일종인오르팅 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논의하였고,2) 이후 구르 도 중 현재 전창되는몇 가지 오르팅 도의 실례를 전개한 바 있다.3) 그러나 구르도의 노랫말에 대한 내용 혹은 음악적 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논의는 전게되지 않았다. 중국의 몽골음악학자 우란지에(吴兰杰)도 “몽골불교음악은 티베트불교가 유입된 이래 몽골민족음악과 결합되어 전래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는데, 몽골불교음악은 13세기 보긴 도(богино дуу, 短調)와 같은 단조로운 민요형식에서 16세기오르팅 도와 같은 보다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민요형식으로 발전하며, 19세기에는 서사가와 같은 극음악형식까지 다양한 몽골민족음악과 결합하여 오늘에 전한다고4) 논의하였다. 결국 몽골불교음악은 몽골민족음악과 불과분의 관계라는 것이며, 몽골 불교성악곡 가운데에는 몽골민요와의 상관성을 논의할 수 있다. 선행 2편의 논문을5) 통해 몽골불교음악과 오르팅 도와의 상관성에 관하여 논급한바 있으나, 단편적인 논의였기에 수집된 음원자료와 악보로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하려 한다. 이하에서는 첫째, 한국에서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몽골불교성악곡인 구르 도의 이해와 고악보 발굴현황 및 몽골국내의 연구현황을 개술하고, 둘째, 구르 도와 오르팅 도 노랫말의 구조와 내용을 상호 비교하여 문학적 맥락을 검토하며, 셋째, 입수한 구르 도의 고악보와 현재 전창되고 있는 오르팅 도의 음악 선율을 비교하여 음악적 상관성을 논의하려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몽골불교음악, 나아가 몽골불교 성악곡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옛 문헌자료가 부재한 몽골 지역의 고악보에 대한 정보와 함께 18-19세기 이후몽골 음악사적 현상에 대한 단면을 고찰하려 한다.


This study is what comparatively mentioned a literary context and a musical correlation by obtaining a musical piece of having a song title same as a urtiin duu(уртын дуу), which is a kind of a Mongolian folk song, from a manuscript of gur duu(гүр дуу, the 18th century), which is Mongolian Buddhism that is possessed at Mongolian Central Library. First, totally five urtiin duus with the song title same as gur duu, were confirmed to be aijam urtiin duu(айзам уртын дуу), which is used in several kinds of ceremonies and rituals even out of the urtiin duu. Second, in the literary context, gur duu has a common ground of comprising a verse form like lyrics in aijam urtiin duu. But the contents of lyrics borrow with changing only words in some lyrics of aijam urtiin duu in gur duu into synonym. Still, both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re being consistent with the Buddhist contents. Third, a difference in mutually melodic progression and vocalism was proved through a musically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urrent aijam urtiin duu by decoding the manuscript in gur duu. In the literary context, gur duu is developed with a form same as prayer in Buddhism and is progressed with the contents for propagation of Buddhism. Thus, gur duu and aijam urtiin duu have a commonality as saying of being a moral song, which has the aim of public education as a song of being used in all the ceremonies and rituals, but have a difference dubbed being religious or non-religious. Hence, musically comparing gur duu and aijam urtiin duu, which correspond to music of Buddhism, there is a difference as an artistic song and a religious song in its functional aspect excluding a point of being a traditional song in Mong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