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 참여의 개인 차이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심이 아닌 참여제약에 의해 설명하고 자원봉사 정부지출이 참여제약에 의한 개인 차이를 어떻게 조절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시민참여의 참여제약 관점과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를 바탕으로 개인이 자원・기회 제약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확률이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과 자원봉사 정부지출은 참여제약에 상대적으로 더 노출된 개인들의 참여를 증가시킴으로써 자원봉사 개인차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은 2015년행정자치부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자원봉사 정부지출 자료와 2015년 통계청 사회조사 만 19세 이상 34,304명을대상으로 일반화된위계적선형모형(HGL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수준에서 시간・지식의 자원제약과 네트워크 기회제약은 유의한 자원봉사 개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자원봉사 정부지출은 이러한 제약들에의한 개인 차이를 조절하고 있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가 갖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individual differences in volunteering based on a resource mod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examine how government spending on volunteering interacts with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volunteering. For this, two hypotheses were posited. First, resource・ opportunity barriers would be a significant factor differentiating individuals in volunteering. Second, government spending on volunteering would interact with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a way that public resources help individuals more exposed to the two types of barriers volunteer more. The data that this study uses are the 2015 Social Survey by the Statistics Korea and the 2015 Volunteer Center Report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Method includes HGLM(binominal logistic multi-level model).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in time・knowledge resource and opportunity by network are mak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unteering participation choice among individuals. However, government spending on volunteering had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ith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volunteering. Finally,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