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시대 유럽, 印度, 나아가 中國과 東南아시아, 그리고 中國과 高麗 사이에는 공통적으로 사치품뿐만이 아니라, 일상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품들이 바다를 통해 대량으로 교역되고 있었다. 특히 1200년경 이후 동서 해상무역에서 교환되던 상품의 특징은 더 이상 사치품 위주의 무역이 아니라, 부피가 큰 일상생활품이 교환되고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고려도 중국의 일반인들의 수요가 많은 상품들을 바다를 통해 남중국에 팔고 있었다. 그러므로 고려도 일정부분 해외시장을 위해 상품을 생산하고 있었다. 宋代 중국의 市場이나 商業의 발전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高麗가 수출한 상품을 본다면 高麗의 경우도 그러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고려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瓷器와 高麗布를 중국에 수출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나, 나아가 生絲를 수입하여 완성품 비단을 되팔고 있었다는 점에서 手工業 생산과 그와 관련된 商業을 발전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고려도 해상무역을 통한 상품경제가 발달해 있었다. 高麗는 宋代에 걸쳐 中國에 대한 주요한 銀 供給地 가운데 하나였다. 그에 따라 송대 中國에 유입된 여러 外國銀 가운데, 高麗銀도 中國 국내의 銀 가격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데 작용했으며, 그 결과 中國의 銀이 동남아시아 등지로 다시 유출될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당시 高麗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銀貨를 지불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상업의 발전이나 교역량의 증가로 인해 그 지불수단인 銀의 채굴이 늘어났을 것이므로, 鑛業의 발전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商業의 활황은 그 파급효과로 인해 고려의 민간 消費水準의 향상에도 기여했고, 그 결과 庶民들까지도 비단옷을 착용하는 상황이 나타났던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여기서 당시 해상무역이 일반 대중들의 생활에까지 영향을 주었던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宋代 이후 元代에 이르기까지 중국과 고려 사이의 해상무역은 그 사이 사이에 戰爭이나 경기하강으로 인한 침체 국면도 있었겠지만, 큰 틀에서 본다면 활황추세가 이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era, between China and Southeast Asia, China and Korea, large quantity of many things from luxuries to daily commodities were traded through the sea. Especially after 1200s, the characteristic of goods traded in East-West marine trade was emergence of bulky commodities. Similarly Korea traded goods which were seen common in domestic market with South China trough the sea. Therefore Korea was no longer in the state of self-sufficiency and produced some goods for foreign market. The market and commercial development of China has already been known. If we see goods Korea exported, we can estimate that Korea would be so. We can infer the handicraft manufacturing and related commercial development of Korea in that. Korea exported china and cloth used in daily lives, imported raw silk, and sold finished silk again. Throughout Song Dynasty, Korea wa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silver supply to China. Consequently until late Song, among foreign silver influx, Korea silver worked to maintain low price of silver in China and as a result it can be thought that China silver could outflow to Southeast Asia countries. At that time, Korea used silver ingot(銀甁) as currency like other major Southeast Asia countries. Due to commercial development and increase of trading volume working a silver mine, as a means of payment, would increase so the mining industry would develop. Active market like these contributed to higher private consumption level, so it can be accepted that even common people could wear silk clothes. Though marine trade between Song China and Korea might had have economic stagnation, in more extensive view, it can be judged that the active market continued to late Song Dynasty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