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라도 고부에 세거하고 있는 의성김씨는 16세기 초에 입향하여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고부를 대표하는 사족으로 성장하였다. 이렇게 의성김씨가 고부를 대표하는 사족으로 성장하는 데에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던 김제민의 역할이 지대하였다. 김제민은 의병장으로 추대되어 웅치전투 등에 참전하였다. 그와 함께 의병에 참여하였던 아들 金晏은 웅치전투에서 전사하였으며, 金昕은 선조를 호종하였고 후에 宣武原從功臣에 책봉되었다. 이러한 김제민과 그 아들의 의병활동은 의성김씨가 고부지역에서 기반을 닦는데 매우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김제민이 사망한 지 70여 년이 지난 후, 현종 14년(1573)에 그를 기리는 道溪書院이 김창집 등의 주창으로 건립되었다. 김창집은 청음 김상헌의 후손으로 고부 의성김씨는 청음가문 등 서인 노론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었다. 서인 노론은 도계서원 건립과 남고서원 사액 등에 적극적으로 후원하였는데, 이러한 후원은 호남 지역의 서인 노론의 학맥을 형성하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이후 도계서원에 김제민과 함께 의병활동에 참여하였던 김제민의 동생 김제안과 아들, 조카 등이 추향되면서 도계서원은 고부 의성김씨의 문중서원으로 변화되었다. 숙종대 이후로 지방의 사족이 중심이 되어 건립된 서원은 대체로 유력 문중의 위상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는데 도계서원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문중서원으로 변화되어 갔던 것이다. 1963년 도계서원이 복설되고 金暹과 金習이 추향되면서 도계서원의 문중화는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Uiseong Kim clan residing in Gobu, Jeolla-do for generations grew into a noble family representing Gobu from the beginning of the 16thcentury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For KimJe-min played a huge role in a commander of the righteous arm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After 70 years since he died, Dogye Seowon which paid a high tribute to his charitable deeds was supported and built by Seoin Noron. Seoin Noron gave support to Seowon in Honam including Dogye Seowon, Namgo Seowon, and etc. This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Seoin’s school ties in Honam. Since Kim Je-Min’s younger brother, son, and nephew all participating in righteous army activities with him were enshrined in Dogye Sewon, it was transformed into Seowon for Uiseong Kim Clan in Gobu. After the reign of King Sukjong, Seowon built with a local noble family as the center was mostly used for strengthening stature of a strong family. Dogye Seowon was also being changed to Seowon for the clan in this situation. After It was rebuilt in 1963, and Kim Seom and Kim Seup were enshrined in it, ‘Clanization of Dogye Seowon’ may be comple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