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論文은 보령 성주사지에서 출토된 명문와를 배면의 속성에 따라 형식적으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단계를 설정해 각 단계의 특징 등을 추론하는데 목적이 있다. 성주사지에서 출토된 명문와는 19종류에 총 365점으로 이들 명문와를 배면의 문양과 명문대 구성방식에 따라 분류․검토한 결과 명문와 배면의 문양적 요소는 대부분 어골문계가 주류를 이루었다. 아울러 명문대의 구성은 三區分 방식 중 중앙 배치가 대부분이며, 명문대의 구획은 ‘十’자 구획과 ‘丨’자 구획, 무구획 등이 확인되고 있어 미흡하게나마 시간적 속성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분류된 명문와는 총 4단계에 걸쳐 성주사에 제작․공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자세히는 먼저 Ⅰ단계는 성주사 창건기 무렵에 해당되는 9세기 중반 이후인 9세기 중반~10세기 중반기경 제작․공급된 것으로 명문와의 내용 구성은 寺名과 建物名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내용 末尾에 瓦草 또는 瓦를 붙여 매듭짓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Ⅱ단계는 10세기말경~11세기말경 사이에 제작․공급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명문와의 내용 구성은 干支+寺名+建物名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내용 말미에는 ‘草’만을 덧붙여 마무리한 것이 특징이다. Ⅲ단계는 11세기 말경에서 12말경 사이에 제작․공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 구성은 이전 단계와 비슷한 干支+寺名+建物名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이전 단계에 비해 장문으로 구체화 되고 있다. Ⅳ단계 명문와는 삼천불전의 조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기와들로 이들 명문와가 제작되고 공급된 시점은 적어도 12세기 말경~13세기 말경 사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Ⅰ단계와 Ⅱ단계는 가장 많은 명문와가 사용된 단계로 이들 명문와에서는 주로 ‘金堂’, ‘祖堂’, ‘千仏堂’과 같은 建物名稱이 사용된 점으로 보아 이들 기와는 위의 중요건물이 신축되는 과정에서 사용된 初瓦로 판단된다. 아울러 Ⅲ단계와 Ⅳ단계에 이르러서는 명문와의 출토빈도가 눈에 띠게 줄어드는데, 이는 사원의 운영과 경제력이 이전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傍證한다 할 수 있겠다.


Hoeamsa Temple sit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Cheonbosan Mountain in Hoeam-dong, Yangju city and is designated as Historical Site No. 128. This site was extensively developed by Naong, a monk, in late Koryo Dynasty, and was developed once more by King Seongjong in Chosun Dynasty. The site is divided into several different parts by its embankment and a number of building structures were found during excavation investigation including, Bogwangjeon, Josajeon, Seolbeobjeon, Nahanjeon and Yeongdang. It has been found that Yeongdang was equipped with Korean floor heating system which included furnace and fireplace. Structures or facilities of Hoeamsa temple site are not found, however, for the cases of other Yeongdang sites including Okryongsa temple site, Yeongamsa temple site, Samcheonsa temple site, Beobcheonsa temple site and Yeongtongsa temple site. In other words, furnace or fireplace are not built which can heat up rooms. Known that Yeondang is a symbolical structure where portraits and statues of high priests,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people lived in there. This can also be found easily by confirming with other Yeongdangs nationwide. This architecture archeology review reveals that Yeongdang in Hoeamsa temple site is a newly constructed roof tile structure in the years of King Seongjong of Chosun Dynasty. It can also be assume that Yeongdang of late Koryo Dynasty was artificially destruct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heating system building. The new heating system building can be assumed to be used as an accommodation or a rest place when the royal family made a visit to Hoeamsa temple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