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훈민정음 해례의 저자는 정음의 원리나 구성이 성리학이나 역학의 이론체계와 부합 하는 것을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 의도는 당시 중국측이나 지식인들을 설득하려는 것 이었다. 해례에 보이는 성리학적 이론들은 태극음양론, 오행론, 삼재론, 그리고 주역 을 비롯한 유교 경전에서 나타나고 구성된 것들이다. 대부분의 이론을태극도설과 황 극경세서에서 취하고 있다. 기론적 정향을 보이는 것은 성음(聲音)을 다루는 것이기 때 문인 듯하다. 발성기관인 아설순치후를 오행에 적용하여 설명함에 이전에 보이지 않는 용어들을 사용함으로써 다소 이해의 어려움을 낳기도 하였다. · ㅡ l를 천원(天圓) 지평 (地平) 인립(人立)의 상(象)으로 삼아 중성(中聲)의 구조와 역할을 해명하는 것은 삼재에 대한 깊은 이해와 더불어 성인의 역할이라 하는 ‘상상(尙象)의 제기(製器)’에 있어 매우 탁월한 사례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Authors of the Commentaries and the Examples of Hunminjeongeum tried to persuade scholars to accept principles of Korean alphabet. They used the concepts of Neo-Confucianism and I-Ching Studies. Neo-Confucian theories that we can see in that book were the theories of Taiji, Yin and yang, Wu-xing, and Santzai. In addition to these, there are some words and phrases in it from the Book of I-Ching. Almost of them are derived in The Diagram and Explanation of Taiji written by Chou-tunii and Supreme standard and Management of the World written by Shao-wong. Authors of the Commentaries recognized the Taiji as that of chi-oriented approach school because of treating the man’s voice. We could meet many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words in that book because they were not used ever. They had creative mind to apply the Santzai[三才] to making the Korean alphabet. · ㅡl which constitutes the core elements of middle sounds stand each that round heaven, even earth and erect human being. And they explained that the main principle of the Hunminjeongeum is to venerate images and shape of voice organon which was the one of four methods to use the I-Ching, and they made the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correct s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