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지각된 조직 아노미 및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 정치지각의 매개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직 공정성이 조직 수준 정치지각을 통해 조직 아노미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팀 제도가 만연한 현 시점에서 조직 공정성에 대한 지각은 구성원들에게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현저성(saliency) 과 가시성(visibility)이 높은 팀에 대한 정치지각으로 이어질 개연성 역시 높다고 판단된다. 즉, 분배공정성과 절차 공정성, 대인간 공정성이 조직 수준에서 확보되었다는 인식은 하강효과(cascading effect)를 통해 조직 정치지각은 물론 팀 수준 정치지각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팀 정치지각은 상승효과(upward spiral effect)를 통해 팀에 대한 태도는 물론 조직에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즉, 팀 내 비합리적 정치를 높게 지각하는 구성원들은 소외감과 일탈로서의 조직 아노미를 높게 인식하는 반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정도는 낮아져서 궁극적으로는 조직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조직 아노미 인식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과정에서 팀 정치지각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팀내 정치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각된 조직 아노미를 높이는 반면, 조직몰입의 정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내 정치지각은 분배 및 대인간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며, 특히 분배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 분배공정과 조직몰입, 대인간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차 공정성의 경우 예상과는 달리 팀 정치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따라서 팀 정치지각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함의점들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specially,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team politic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wo outcomes. We expect that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personal justice will reduce perceived team politics. When an organization distributes fair outcomes according to fair procedures and the authority figure who enacted the procedures treats employees with dignity and respect, employees will think their team could not be managed by organizational politics. Additionally, we expect that while perceived team politics will positively affect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it will nega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we collected data from 671 employees from 3 firms. The sample consisted of 336 males and 313 femal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distributive and interpersonal justice negatively affected perceived team politics. However, procedural justi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team politics. Perceived team politics aggravated the level of per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redu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 expected. Perceived team politics played the role of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commitment and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dditionally, the effect of interpers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team politics. We discusse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