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2018년부터 심각한 고령사회가 되는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행 경제. 사회 운영 틀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내수가 위축되거나 노동력부족 등으로 구조적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초 고령화 시대, 여러 가지 노인문제 중 노인들의 경제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한 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경제활동 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여자노인이고, 연령은 65세~69세, 교육수준은 무학인 노인층은 노인의 가구소득, 빈곤지위, 취업여부, 종사상지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경제활동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남자노인이고 교육수준은 2년제 대학의 노인층은 노인의 경제활동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만족도, 전반적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은 경제활동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이 높은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노인의 경제활동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만족도, 전반적 만족도가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결과를 국가 고령화 정책수립시 참고한다면 노인의 자립지원 및 Active Senior상 정립으로 노후 삶의 질을 향상하고 고용 및 산업구조를 고령사회 친화적으로 전환하여 신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구축과 노후소득 보장체계를 강화하여 건강하고 보호받는 노후를 보장하는 복지국가 건설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has already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2000, but with current economic and social management, a structural stagnation such as decrease in domestic demand or lack of labor is expected to occur in 2018. The issues on old people of early aging era can be categorized into economic, healthy, leisure and social-psychologic conflicts and exclusion problems. Concentrating on economic issues, it was found that the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of old people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that amongst those features, for the group of old people of age between 65∼69 and illiteracy, the household income, poverty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profession status are highly relevant to the economic activities. The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of old people were found to diff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amongst those features, for the group of old people of the male sex and literacy of 2-year university study,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hip, and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are found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economic activities. The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was found to give a positive effect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is would mean that old people of high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highly recogniz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economic activities, social relationship and in overall. Referring to this result when establishing a policy, it is expected that better quality of life by independence of old people and definition of the active senior, the insurance of new motive power by conversion to senior-friendly structure for employment and industry, the base construction for better quality of life and reinforcement of insuring system for health and protection of the aged would be encountered and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