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 당사자들이 인식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인식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로 접근하여 한국사회통합을 위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인식개선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이주민이 인식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인식과 태도는 출신국의 경제력에 따른 이중적인 태도에 분노와 자멸감을 경험함, 이주민에 대한 선주민들의 편향적인 고정관념으로 인한 차별, 국적을 취득해도 넘지 못하는 한국사회로 나타났다. 둘째, 사적영역에서 경험한 차별과 배제는 언어부족과 다름을 문화적인 열등감으로 인식하고 차별과 무시로 일관됨, 타문화에 배타적이고 밀어붙이기식의 동화를 강요하는 사회, 과도한 복지수혜자로 오인됨으로 드러났다. 셋째, 공적영역에서 체험한 차별과 배제는 이주민을 분리하고 배제하는 한국의 다문화정책, 주체와 객체가 뒤바뀐 다문화현장, 공교육현장에서 벌어지는 일상적인 차별의 두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주민이 제안하는 다문화사회는 변화의 빗장이 서서히 열리고 있지만 산 너머 산, 선주민과 이주민을 구별 짓는 경계넘기, 다문화사회의 단단한 주춧돌 쌓기, 편견과 차별을 넘어 ‘새 술은 새 부대에 담기’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사회통합을 위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인식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cultural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former inhabitants for social integration by administering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ultural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former inhabitants which the immigrants parties perceived in Korean society. As the results, first, it appeared that the perceptions and the attitudes of former inhabitants which immigrants perceived included 'Anger and frustration about dual standards according to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e countries which the immigrants were originated from', 'Discrimination by stereotypes of former inhabitants towards immigrants', 'Viewing them still as outsiders in spite of obtaining Korean nationality'. Second, the discriminations and exclusions which the immigrants experienced in public sectors included 'Considering broken languages of immigrants as inferior', 'Misunderstanding of excessive welfare benefits for immigrants'. Thirds, it appeared that discriminations and exclusions which the immigrants experienced in public sectors included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which segregate and exclude immigrants', 'the Reality which the subject and the object has been reversed', 'Fears of discrimination in daily lives'. Fourth, the multicultural society which the immigrants suggest includes 'Mountain after mountain' in spite of the gradual changes, 'Overcoming the boundaries between former inhabitants and immigrants', 'Building cornerstone in multicultural society', 'Putting new liquors into a new bottle' over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is study seems to attribute to suggest the directions and the methods for improving perceptions of former inhabitants in order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in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