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방문객의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비슬산 참꽃문화제의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주요 등산로 2곳(A 등산로; 대견사지를 기점으로 유가사방면으로 향하는 등산로, B등산로; 대견사지를 기점으로 마령재방면으로 향하는 등산로)의 탐방객 이용행태를 분석한 결과, A 등산로를 이용하는 탐방객은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소규모로 자연휴양림으로 입장한 후 다시 자연휴양림으로 하산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B 등산로를 이용하는 탐방객은 정상등반과 군락지 감상을 목적으로 동호회 사람들과 함께 단체로 유가사로 입장한 후 자연휴양림으로 하산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축제의 개선점은 진달래의 생육환경개선과 진달래의 개화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개화기간 중에 축제가 개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문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교육적이고 유익한 축제내용을 보강하고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를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improvements of Biseulsan(Mt. Biseul) azalea cultural festival through the visitor's behaviors and satisfact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bout the two trail(Trail-A: Yugasa direction from Daegueonsaji, Trail-B: Maryeongjae direction from Daegueonsaji), the visitors who used the Trail-A tended to climb down the mountain toward the Bisul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fter entering with small groups composed of friend or family into the Bisul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But the visitors who used the Trail-B tended to climb down the mountain toward the Bisul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fter entering with large groups composed of club members into the Yugasa. In order to see the azalea habitat and climb the summit, they used Trail-B. Improvements of this festival showed to improve growth environment of azalea and to held this festival during the azalea blooming period through the correct prediction of blooming period. The educational and informative festival contents were necessar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in Biseulsan Azalea Cultural Festival. And the public relations through the media outlets we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