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과정을 살펴보려는 일환으로써 당대의 사찬사서를 통하여 중종ㆍ명종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중종ㆍ명종대는 정몽주의 문묘종사가 이루어지고, 정몽주의 최초 제향서원인 임고서원이 설립되는 시기이다. 또한 성종대 『동국통감』을 축약한 사찬사서가 사림에 의해 최초로 나오는 시기이며, 그 대표적인 것이 박상의 『동국사략』과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이다. 중종대 정몽주 인식은 기묘사림 박상의 『동국사략』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동국사략』의 고려 말 정몽주 기사를 살펴보면 『동국통감』에 비해 정몽주의 사행 및 공양왕대 정치활동 기사가 거의 삭제되어 있다. 이는 중종 12년(1517) 문묘종사, 중종 14년(1519) 기묘사화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성종대 『동국통감』과는 다르게, 고려 말 이색의 절의를 靖節로 이해하고, 정몽주의 殉節, 길재의 抗節과 함께 동일시하고 있다. 명종대 정몽주 인식은 을사사림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표제음주동국사략』의 고려 말 정몽주 기사를 살펴보면 『동국통감』에서 대의명분에 따른 포폄이 분명한 기사만을 취사선택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박상의 『동국사략』과 달리 이색의 절의를 인정하지 않고, 고려 말 서술체제에서도 공민왕 다음에 공양왕을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기묘사림과 을사사림의 대의명분에 따른 입장 표명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성종대 『동국통감』에서 정몽주를 절의지사로서 ‘충신’ 임을 강조하였다면, 중종대 기묘사림 박상의 『동국사략』에서는 문묘종사의 영향으로 정몽주의 취약점을 삭제하고, 명종대 을사사림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포폄이 분명한 기사만을 취사하여 정몽주를 확실한 ‘성현’의 반열에 올려놓고 있다.


This research is about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Jungjong and Meongjong period, to know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confucianism in early Chosun dynasty. Jungjong and Meongjong’s period is when Moonmyojongsa of Jeong Mong-Ju was performed. It is also a period when Jeong Mong-Ju’s Imgo seowon was established. By the way also history books which is the summary of Donguktongam was revealed by Sarim. The most known one is Park Sang’s Donguksarak and Yui Hee-Ryung’s Pyojeeumjudongguksarak. Jeong Mong-Ju’s recognition could be well seen by Park Sang’s Donguksarak. By looking at its article about Jeong Mong-Ju in late Koryeo, almost all of Jeong Mong-Ju’s work and political act in Gongyang King’s period. This happening could be answered as Munmyojongsa and Kimyosahwa. Jeong Mong-Ju’s recognition can be explained by Yui Hee-Ryung’s Pyojeeumjudongguksarak. In its article, the choices of article is very specific with its opinion. Thus, it doesn’t admit Lee Saek’s royalty and describe Koryeo history system as Gongyang King right after Gongmin King. Difference of perspective could be described as difference between KimyoSarim and YulsaSarim’s thought of justification. For example, in Donguktongam, they emphasize Jeong Mong-Ju as royalty Julyuijisa. Furthermore, Park Sang’s Donguksarak erased week part of Jeong Mong-Ju as effect of Munmyojongsa. Also in Yui Hee-Ryung’s Pyojeeumjudongguksarak, it describe Jeong Mong-Ju as saint by using article that has strong 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