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메이지(明治) 말기와 다이쇼(大正)기를 거쳐 쇼와(昭和)기에 이르기까지 일본에서 근대도시계획이 형성되는 시기에 주된 역할을 한 고토 신페이(後藤新平), 세키 하지메(關一), 이케다 히로시(池田宏), 가타오카 야스시(片岡安) 같은 주요 인물들의 도시관이나 도시계획론을 비롯한 도시사상을 정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 근대도시 형성과정에 대한 사상적 측면에서의 접근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는 이러하다. 이 네 사람은 모두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 초기에 출생하였으며 메이지 유신기에 일본의 근대국가화에 필수적인 ‘동량(棟梁)’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 네 사람이 몸담은 분야로 의학, 경제학, 법학, 건축학이라는 근대 국가 구성의 기본 인프라를 제공하는 중심 요소들로 이루어진 점이다. 이러한 핵심 분야들에서 성장한 네 사람이 모두 일본 근대도시계획 형성의 중심인물로 활동했고 오늘날까지 일본 도시들이 가진 기본 축을 이루었다는 것은 일본 근대 도시의 기본 특성만이 아니라 일본에서 구현되는 근대성에 대한 기본적 이해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들 모두가 서구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고 그 영향에 기초하여 도시계획에 대한 시각과 틀을 제시하고 있음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들의 도시관과 도시계획관은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는 듯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국가를 중심에 두고 도시를 생각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그런 점에서 도시계획 역시 이런 국가 중심의 도시에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그래서 인프라를 중시하고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경영을 전제로 한 도시계획을 생각하며 이런 도시계획의 실현은 다름 아닌 제국 일본의 근대성을 적확하게 구현하는 도시의 실현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중 순전한 건축가적 마인드로 접근하는 가타오카 야스시에게서는 그런 국가주의적 속성이 그다지 드러나지 않는다고도 할 수 있지만, 어쩌면 이렇게 자기 분야에만 완전히 매몰하는 모습 또한 제국 일본 형성에서 한 분야를 차지하는 전문가들에게 요구된 기본 ‘덕목’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between the ideas of city and city planning of four modern Japanese planners(Goto Shinpei, Seki Hajime, Ikeda Hiroshi, Kataoka Yasushi) who played a prominent part in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planning from the late Meiji to the Taisho, so that it attempts to approach to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in view of the method of the history of ideas. All of these planners were born from the late Bakufu to the early Meiji, and growed up as the ‘pillars’ indispensable to the constitution of Japanese modern state during the Meiji period. Above all, it is noteworthy that all of them were in sectors that had given the basic infrastructures of the modern state constitution: Medicine, economics, law, and architecture. The fact that these four planners worked actively as the central figures of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planning and constituted the basic axes of Japanese cities can provide the foundation of understanding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odern city as well as the modernity embodied in Imperial Japan. It seems that their ideas of city and city planning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details. However, as a whole, they were common in that they thought the city focusing on the state, and so they approached to the city planning from the viewpoint that it would resolve the problems of city for the state. Therefore, they put stress on the infrastructures and pursued the city planning that premised the practical and rational management of city. It can be said that the fulfillment of this city planning was no more than the realization of city that incarnated accurately the modernity of Imperial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