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discusses the design, enactment and evaluation of a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CKB) workshop, designed to resolve the prevalent problem that Asian students tend to lack the necessary skills and appreciation for collective cognitive responsi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econdary one (13-year-old) students in one of the future schools in Singapore.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KB workshop that was designed with the material and structural conditions (i.e., idea cards, knowledge wall, opportunistic grouping, reflective presentation) coupled with explicit instruction to help them learn about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skills. For evaluation,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perception survey about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s after the workshop.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discourse data of one selected group’s discussion.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students showed overall positive perception about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s in the workshop and the indicators of knowledge building discourse moves in the group discussion. However, the students still needed more guidance in the process of teamwork, particularly in consensus building due to the tendency to reach a quick consensus.


본 연구는 아시아 학생들이 협동적 지식 책무성의 기술과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한 협동적 지식 형성 워크숍의 설계부터 실행 및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실천적 사례로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싱가포르의 미래학교 중 하나인 중학교의 13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학생들은 협동적 지식형성에 대한 명시적 수업뿐만 아니라, 아이디어 카드, 지식의 벽, 기회적 그룹 형성, 성찰적 발표 등의 물리적 구조적 조건이 배치된 워크숍에 참여하였다. 평가를 위해서 학생들은 워크숍후에 협동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한 특정 그룹의 협동학습 과정에 대한 담화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워크숍에서 경험한 협동적 학습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룹 담화분석에서는 지식형성 담화의 특성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팀워크 과정에 관해 더 많은 안내를 필요로 하였고, 특히 협동적 지식형성 과정에서 단시간에 합의에 이르려고 하는 경향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