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국립창극단에서 제작한 허규 연출 <적벽가>(1985), 김홍승 연출 <삼국지 적벽가>(2003), 이윤택 연출 <적벽>(2009) 그리고 이소영 연출 <적벽가>(2015)의 ‘이면’ 연구를 통해 ‘연출적 감수성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창극 무대화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여겨지던 판소리 <적벽가>를 무대화한 것이기에 어떠한 고유의 ‘연출적 감수성’을 생성했는지를 중심으로 논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판소리의 미학론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면론’을 창극 연출을 논하는데 원용하였다. 네 편의 창극 <적벽가>들은 공통적으로 박봉술제 <적벽가>를 저본으로 한 것이지만, 사설·장단·조에 변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무대 형상화에서 큰 차이를 내보이고 있기에 2장에서는 창본들의 차이점을 논하고 3장에서 구체적인 무대 형상화를 통한 개별 작품들의 ‘이면’ 창출을 살폈으며 4장에서는 연출가들의 ‘예술적·시대의식’을 논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허규 연출은 1985년 처음으로 완판창극 형태로 <적벽가>를 연출하여 ‘남녀를 넘어선 인간 존재의 고통’과 ‘간웅 조조 연기에서 희극적인 감수성’을 구현하고 TV와 라디오매체의 생중계를 통해 그 소통을 확장하려 노력하였다. 2003년 김홍승 연출은 <삼국지 적벽가>를 연출하여 ‘장쾌하고 대중적인 감수성’을 구현하였으며 2009년 이윤택 연출은 <적벽>을 연출하여 ‘서로 대립하는 영웅들의 의로운 감수성’을, 이소영 연출은 2015년 <적벽가>를 연출하여 ‘여성들을 비롯하여 전쟁을 일삼는 삼국의 백성들의 억울한 죽음과 원한’을 구현하였다. 각 연출가들이 위와 같은 ‘연출적 감수성’을 발휘하여 대중화되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점들을 해소하고 <적벽가>를 창극화한 것은 이 작품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article uses Yi-myoun theory (裡面論) to investigate the various styles of the Changgeuk Jeokbyeokgas, as directed by Hur Gyu (1985), Kim Hong-Seung (2003), Yi Yun-Taek (2009) and Yi So-young (2015). Pansori Jeokbyeokga have noticed that difficult repertory to direct into Changgeuk for a long time, so Changgeuk Jeokbyeokgas deserved academic attention. This article researched performances’ "sensibility of direction" based on Yi-myoun theory, which extends to Changgeuk from Pansori aesthetics. The four Changgeuk versions of Jeokbyeokga were all recreations of Park Bong-sul’s Jeokbyeokga, but varied in Sasul (辭說, script), Sangdan (長短) and Seongzo (聲調). So, at first, this paper discussed differences of Changgeuk Jeokbyeokgas’ scripts in the second chapter and realization of Yi-myoun researching stage embodiments of four performances in the third chapter, then extracted directors’ “sensibility of direction and consciousness.” Director Hur Gyu directed the first wanpan-changgeuk version of Jeokbyeokga (1985) and focused on the pain of human beings without distinction of sex and comic sensibility in the role of Cao Cao. He tried to enhance communication through public live television and radio broadcasts. Kim Hong-seung’s version of Jeokbyeokga (2003) created an exciting and popular sensibility. Yi Yoon-taek directed Changgeuk Jeokbyeokga (2009) focusing on the righteous sensibility of antagonistic heroes. Finally, Yi So-young’s version (2015) presented the victimization, death, and resentment of the people under the warring Three States. These four directors each succeeded in popularizing the Changgeuk Jeokbyeokga using their own directorial sty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