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9세기 후반 한성부 도성의 서쪽 지역인 西郊의 盤松坊을 중심으로 당시의 풍경을 역사적 사실 관계와 비교하여 서술하였다. 새로 발굴한 도성도와 연대기자료를 비교하여 서교의 변화상을 밝히고자 한 것이 주목적이었다. 조선시대 도성을기준으로 그 외부는 郊 혹은 郊外라고 하였다. 거리의 차이에 따라 近郊, 遠郊로 구별되었다. 방위에 따라서 남교, 북교, 서교, 동교로 구분해서도 불렸다. 도성을 둘러싼 사방의 교외는 도로와 농지, 주택이 위치하였으며 도성내 거주민의 생활을 지지하는 보장지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였다. 도성 주변의 4개 교외 중에 국초부터 국가적인 관심을 받고 개발된 곳이 서교이다. 서교가 주목되는 점은 조선시대 대외관계가 주로 이어지던 곳이며, 외부 세력이 도성을 공격할 때 늘 이용하던 지역이기 때문이다. 고종대 개항이후에도 인천과 남양의바다를 거쳐 들어오는 외국인들이 처음 한국을 접하던 지역이었다. 명과 청의 ‘외교공관’이라고 할 모화관이 이 지역에 있기는 하였지만, 근대적 국제공법에 따라 외교 공관이 위치한 것도 서교의 반송방이었다. 반송방에 처음 세워진 공관은 일본공사관이었다. 일본은 강화도에서 포함외교를 통해 조선왕조를 개항하게 한 후 통상과 자국민의 통행을 위해 도성에 공관을 두고자 하였다. 왕조정부에서는 도성내에 외국인이 거주한 사례가 없었고, 모화관에 중국인들이 거처하던 사례를 이용하여 경기 감영 인근의 淸水館에 임시로 일본 공사 일행을 머물게 하였다. 본고는 개항 이후 최초의 일본공사관이 설치되었던 청수관에 머문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인이 작성한 그림 자료를 중심으로 청수관 인근 반송방과 서교의 풍경을 그려보고자 했다. 학계에 새로 소개하는 자료는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의 ‘漢城遠望之 圖’이다. 본고는 「한성원망도」의 내용을 연대기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이 자료가 지니는 역사적 사실 관계를 서술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도상에서 서교와 반송방에 관련된역사적 사물들의 관계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9세기말 서교의 실태와 함께조선시대 서교의 변화된 모습을 밝혀 도성 인근의 풍경을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late 19th century of westside in the Capital city of Kingdom of Joseon, it comparison with the historical facts of the landscape at the time. By comparing the newly excavated conductive help Chronicle article that was clearly private changes image was the main purpose. Based on the conductivity of the outside Capital, it was distinguished in the far suburbs. That the capital of the westside area is noted is where external relations of the Joseon Dynasty was mainly followed, when the external forces to attack the conductivity, that has been always utilized. After the opening of King Gojong, the incoming foreigners was the first contact area of capital city. The first time established foreign legation was Japanese. Japan through diplomatic of Warship in Ganghwa Island, after being opened the Joseon dynasty, tried to put the legation of the diplomatic missions for Japanese people. Joseon government has no case that foreigners were living in nearby Capital city. There offered capital of the westside area. Because it was used to be place of diplomatic area,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Basically, this paper used data is a map. It was newly introduced to the 123 漢城遠望圖에 묘사된 19세기 후반 한양 도성 西郊의 풍경academic community. The maps name is Hansungwonmangdo( 「漢城遠望 圖」). It was belong to Japan’s National Archives. In this paper, show the relationship of historical things related to area of westside Capital and change of landscape on the map. As a result, I tried to see the obvious to the conductive close to the landscape the reality and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19th century in area of westside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