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역사문헌을 다루는 인문학은 기초자료를 학술적으로 정리, 가공하여 보다통합적인 시야에서 역사의 시공간을 조사(照射)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한편으로 미시적·일상적 서사구성을 새로운 각도에서 분석하여 그 연구 성과를 일반 대중의 기호에 맞도록 각색하는 일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인문학의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시공간의 실제 모습을 구성할 수 있는 가장 긴요한 자료로서 고문서가 중시되기시작했다. 고문서는 ‘원소스 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에 가장 잘 어울리는자료이며 이를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문서의 정본화와 역주가 필요하다. 또한 고문서를 둘러싼 인적 네트워크, 고문서가 작성된 시간적·문화적 배경, 고문서의 문체 등을 심층적으로 해명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그 일례로 1629년(인조 7) 심명세(沈命世, 1587~1632)가 김홍원(金弘遠)에게 여종 1명을 주면서 작성한 명문(明文)을 들었다. 앞으로 ‘행정의 실상’, ‘사대부 삶의 물적 기반’과 ‘민간 기층의 생활문화사’의 정수를 담고 있는 고문서를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그 성과를 새로운 인문학의 추동에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그 종합적 연구의 가장 중요한 초보 단계는 서식과내용의 분류와 함께 학술적 역주이다. 주요 고문서를 현대 한국어로 역주하여 학술적·대중적 활용성을 극대화해야만, 한국 전통시대 생활사를 통시적으로 망라하는 기초 자료를 구축,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 researches in the study of history dealing with old documents, while classifying and arranging materials, keep seeking the methodology to explain, with a broad outlook, the detailed atmosphere that occupied the space and time in history. Also, the way of analyzing the materials from a micro-perspective is now considered seriously because it enables to restore the detailed shape of the daily life in Joseon period and to share the outcomes with the public in more suitable way as well. With the changing phase of humanities, old documents are now in the spotlight as one of the most critical materials with which the space and time with a certain story of the past can be reconstructed. It is commonly estimated that old documents are the most suitable materials for so called ‘One Source Multi Use’ and the process of making the authentic texts and translation with gloss are needed for more effective utilization. It is also inevitable to elucidate the social network,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the style of old documents for deeper understanding. This paper deals with a document on donation as a example that was drawn up in 1629 when Sim Myeongse donated a female slave to Gim Hongwon. At last this paper suggests the synthetic way of research of old documents. Old documents that contains the essence of the real condition of administration, material base of life of noblemen and the life history of ordinary 藏書閣 36 102 people should be investigated synthetically so that the research achievements should be connected to new phase of humanities. The first step is their classification by style and content and their academic translation with gloss. It is only when old documents are translated for both academic and popular use that basic data which include the life history of premodern period diachronically can be constructed and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