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상태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구강건강상태의 중요성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경상북도 농어촌지역에 소재한 일부 4년제 사립대학교를 편의표본 추출하여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들의 구강건강 상태를 비교하고,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 구강보건행태, 수면의 질에 대한 항목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을 하였고, 총 59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Duncan test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구강건강상태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취자각은 여성, 3학년, 인문사회계열의 전공 대상자, 구강건강이 좋고 구강질환이 없을수록 구취상태가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조 증상은 여성, 3학년, 보건계열 전공 대상자에서 구강건조 증상이 낮게 나타났다. 턱관절 증상 인지는 학년이 낮을수록, 보건계열에서 전신건강 및 구강건강이 좋고 구강질환이 없을수록 턱관절 증상 인지가 낮게 나타났다. 수면의 질은 4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이 좋을수록, 턱관절 증상 인지가 심하지 않을수록 수면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전신건강의 일부분인 구강건강상태가 수면의 질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수면의 질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구강보건의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구강건강 적신호의 증상이 발견되었을 때의 초기검진의 중요성 등의 구강보건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성인기로 접어드는 대학생 시기의 구강건강의 중요성과 향후 구강증상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및 구강보건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statu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samples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private universities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college stu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reas.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order to compare the or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their sleep. A questionnaire was drawn up with items concerning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 and the quality of sleep in self-administered surveys. In total 59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SPSS 20.0 program. S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independent-sample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sleep.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emales, juniors, majo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those who had better oral health status and ones without oral diseases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bad breath. Females, juniors, and majors in public health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xerostomia. Lower graders, majors in public health, those who had better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and ones without oral diseases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symptoms. The quality of sleep was lowest for seniors, and those with better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and lower level of perceived TMJ symptoms showed higher quality of sleep. In short, oral health status, which is part of general health status, had a partial impact on the quality of sleep.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sleep quality, preventive measures for oral health is essential. Al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oral health education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warning signs of oral health sympt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oral health polices. It will also enlighten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or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