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송계 한덕련(1811-1956)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중엽을 살다간 최근세 영남이 낳은 거유 중의 한 사람이다. 송계는 평생토록 청빈하게 살면서 벼슬이나 명리를 추구하지 않고, 강학(講學)에 온 힘을 기울인 전통적 유가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그는 혼란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유학이 가진 역할과 효용성은 도대체 무엇인가” 라는 ‘유학의 정체성 위기’에 대한 물음에 대해 자신의 대답을 말하고 있다. 그는 학문을 하는 목적이 “사람이 되는 도리를 알고자 하는 것”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사람의 도리를 알고 실천하기 위해서 학문이 필요하게 되고, 이것이 바로 우리가 학문을 하는 목적이고, 덕행의 근본이 된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경전에 통달하여 그 문장을 외우고, 그럴듯한 문장을 짓는 일은 오히려 말단에 불과할 뿐이라고 말한다. 그는 공부나 학문을 하는 목적 또는 의미를 단순히 개념적인 지식을 다루는 추상적인 학문이 아니라 현실과 삶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사람과 현실이 가지고 있는 허물이나 문제를 질병 또는 병으로 간주하고, 그것을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처방하는 ‘치료적’인 각도에서 유학의 학문적 정신과 내용을 말한다. 그는 유학의 성격을 사람과 현실이 가지고 있는 고통이나 문제를 진단하고, 처방하고 치료하는 치료적 사유의 관점에서 보아야 할 것을 말한다. 그는 치료적 사유의 각도에서 유학의 본성과 기능을 말하고, 이에 근거하여 심신치료는 물론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유학사상이 가지고 있는 각종의 폐단과 사회의 병리적 현상들을 치료하기 위한 전면적이고 반성적인 고찰을 진행한다.


Songgye Han Deok-ryeon is one of the great Confucian scholars of modern times from the Youngnam district who lived from the late 19th to the mid-20th century. Han Deok-ryeon showed the typical Confucian scholar's attitude of being fully committed to learning in honest poverty without pursuing a high-ranking position or coveting fame and riches all his life. He makes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are the role and utility of Confucianism?”, which refers to ‘Identity Crisis of Confucianism’ in the turbulent historical situation. He says that the purpose of learning is “to find human duties.” Learning is needed to find and perform human duties, which is the goal of our learning and the source of virtues at the same time. He, however, states that it is just a peripheral matter to be well versed in Confucian classics, to memorize their sentences and to compose plausible sentences. Further, he argues that the purpose and meaning of study or learning should not focus on abstract learning to handle simply conceptual knowledge but sustainable learning to handle real life problems. He regards shortcomings inherent in and problems confronted by people in real life as diseases or illnesses and views the academic spirit and contents of Confucianism from a ‘therapeutic’ standpoint to tackle them at a relatively fundamental level. He asserts that the nature of Confucianism should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rapeutic thinking such as diagnosing, handling and solving sufferings or problems faced by people in real life. He relates the nature and function of Confucianism from the viewpoint of therapeutic thinking. Based on this, he gives an overall reflective consideration to correcting various evils inherent in Confucian ideas and curing social pathologies as well as healing bodies and mi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