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무속의 굿거리를 기록한 문헌으로 무당내력 고문헌과 가람본,  무당성주기도도, 무녀연중행사절차목록, 무녀의, 거리등이 있다. 이들 문헌들은 무속의 기원이 단군의 신교이며, 감응청배․제석거리․별성거리․대거리․성조거리에서 각 굿거리의 기원이 단군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아직 이들 문헌들의 제작연대 및 제작의도는 밝혀지지않았지만, 이들 문헌들의 편찬시기는 무속으로의 단군신앙의 형성을파악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무당내력 및 그 이본들과 대중교계 간행물인 단조사고․신단실기와의 단군관련 기술의비교를 통해서, 또한 단군 무신도와 대종교계 단군 영정사진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한일병합 전후로 무속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고일본의 종교가 침투되는 상황 하에서 대종교에 의한 단군민족주의의대중화와 무당내력과의 관련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1905년 통감부의 「종교의 선포에 관한 규칙」, 1912년 조선총독부의「경찰범처벌규칙」에 의해 무업에 대한 단속이 심화되자, 일부 무격들은 교파신도의 이름을 빌리기도 하고 일본 황조신을 모신 무격단체를 창설하여 경무국의 허가를 받고자 했다. 그리고 무속에서 무업허가를 받기위해 일본 교파신도와 협력하거나 황조신을 모시는 단체를 창설하는 경향은 193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반면, 단군 민족주의의 부흥으로 일본 황조신 아마테라스에 대립되는 조선의 시조신 단군을 무속에서 제신으로 모시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했는데, 이는 단군을 무속의 기원으로 기술하는 무당내력 및 무당내력 이본들의저술목적과 그 시대적 배경을 같이 한다. 즉, 굿에서 단군신화 본풀이(무가)가 구송되지 않는 점에서, 19세기이전 무신도에서 단군이 발견되지 않는 점에서, 단군은 20세기 초 단군 민족주의가 발흥되기 전까지 무속과 거의 관련이 없었다고 볼 수있다. 하지만 대종교계 역사서인단조사고및 신단실기 와 무당내력 및 이본들과의 단군관련 기술의 유사성에서, 20세기 초 최초의단군 무신도의 대종교계 영정 사진 및 해방 이후 지성채 단군영정 모사본의 무신도의 영향관계에서, 대종교계 인쇄물이 무속의 단군유입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20세기 초 종교문화지형에서보면 무속의 기원을 단군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무당내력의 저술목적은 조선인의 민족성을 구축하려는 단군 민족주의에서 찾을 수 있으며, 무속에 미친 단군관 및 단군상은 대종교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As literatures related to Korean shaman’s Gut, there are two kinds of Mudangnaeryuk(巫黨來歷: Origin of Korean Shamanism)(Gomunheon and Garambon), Mudangseongjugidodo, Munyeyeonjunghaengsajeolchamokrok , Munyeui, Georiand so on. These illustrate that the origin of Korean shamanism is a religion founded by Dangun and shaman song in Gameungcheongbae, Jeseokgeori, Byulsunggeori, Daegeori and Seongjogeori narrate Dangun. However, it is not yet clarified when and why these literatures were written. The editorial time period of these literatures are important for identifying when Dangun became a god of Korean shama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shaman control policy and shaman’s condition after 1905 in the perspective of Dangunnationalism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f Dangun’s popularization owing to publications of Daejonggyo and Mudangnaeryuk. As research methods, narration about Dangun between publications of Daejonggyo such as  Danjosago and Sindansilgi and Mudangnaeryukmight be compared, and Dangun picture of Daejonggyo and pictures of Dangun in shamanism might be examined. After 1905, establishment of Residency-General of Korea, shaman control policy had been strengthened; as a result, some shamans were in partnership with Japanese Kyoha Shinto or tried to get permission for shaman activity founding shaman organization which served Amateras, first ancestor god of Japanese emperor. In addition, the trend founding shaman organization which served Amateras had continued until 1930s. On the other hand, Korean shamans also became served to Dangun, who was contrasting with Amateras as the god founding Korea, by revival of Dangunnationalism; that is the reason whyMudangnaeryukand books which is analogous to it were written, and it shows social condition of the period which these were written. In other words, because Dangun myth is not narrated in Guk of Korean shamans, because a painting of Dangun does not exist among paintings of Shamanistic spirits in 18~19century, Dangun might not have relevance to Korean shamanism until revival of Dangunnationalism. However, Danjosago and Sindansilgi, history books published by Daejonggyo, are similar to  Mudangnaeryuk and other books related to Korean shamanism in the description of Dangun. Also, Dangun portrait of Daejonggyo and Dangun portrait of Jiseongchae of Daejonggyo have affected paintings of Shamanistic spirits since the early of 20 century. Therefore, in the light of religious-cultural topography of early twenty century, why Mudangnaeryuk illustrates that the origin of shamanism is Dangun might be Dangunnationalism in order to establish Korean ethnicity, and thought and image related to Dangun in Korean shamanism might be influenced by Daejongg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