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금연상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플립 러닝을 기반으로 한 금연상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금연상담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개발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문헌분석과 함께 요구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통한 효과검증을 거쳐 현장에 필요한 실무중심의 금연상담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금연상담 교육프로그램은 첫째, 금연상담 전문가에게 필요한 금연상담역량을 실제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체 교육과정의 구성(기본, 심화, 보수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세부 학습내용 및 경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교육과정은 크게 기본, 심화, 보수교육과정의 세 단계로 구성되고 각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학습자(교육생)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플립 러닝 환경을 조성하였다. 셋째, 개발된 금연상담 교육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결과, 학습자의 금연상담역량인 지식, 기능, 태도의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금연상담사나 학교흡연예방담당교사 등에게 플립 러닝 환경의 구성이 학습에 효과적이며, 금연상담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담과 같은 실제 실습 경험을 통해 상담자의 역량을 향상해야 하는 교육과정이나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플립 러닝 적용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competencies. Methodology: This study adopte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needs 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verification through on-site applications in order to develop the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training program.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consists of an overall curriculum that can actually improve the professionals’ competencies required to counsel smoking cessation issues and covers its detailed contents and learning experiences. Second, the curriculum has three phases: basic, intensive and supplementary. Each phase reflected specific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o create an appropriat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Third, the on-site application of the program resulted in a positive impact on the counseling skills of the learners in terms of their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Valu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skills of practitioners such as smoking cessation counselors and school teachers. This suggests that the flipped learning for training courses and training programs applied to this study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actitioners’ counseling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