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국제학계의 지배적 입장은 영미 대도시들이 경과한 ‘고전적’ 젠트리피케이션을 결여하고, 국가주도의 대규모 신축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환경 미화를 그 전형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네 개의 도시에 관한 문헌검토와 경험연구에 근거하여 이러한 주장이 동아시아 어바니즘의 다양한 형태를 획일화․단순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한편으로 국제 학계가 의존하고 있는 기존의 동아시아 어바니즘에 반하는 새로운 어바니즘의 등장에 주목하며, 다른 한편으로 그동안 외면받아온 소비 측면 설명의 통찰을 수용하여 동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보다 개방적이고 섬세하고 균형있는 접근을 주장한다. 비록 지구적 수준에서 작동하는 국가주도의 대규모 프로젝트들이 동아시아 어바니즘의 지배적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그 맞은 편 또는 틈새에서 로컬 수준의 다양하고 자발적인 문화주도 도시재생이 발생하여 동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의 양상을 다채롭고 복수적인 것으로 만든다. 또한 국가주도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로컬 행위자들의 다양한 반작용은 젠트리피케이션의 과정이 복잡하고 예측불가한 형태로 물질화하도록 만든다.


Thus far the dominant image of urban development in East Asian metropolises has been large-scale state-led redevelopment characterised by mass demolition and construction of megastructures, and a wholesale displacement of the residents. This image has also been central to recent theorisation of gentrification in the “Global East”. Gentrification in East Asia is presented as state-led large-scale new build gentrification and beautification of urban areas for tourism. Based on the case studies on four cities in East Asia, this paper challenges this stipulation and points to the newly emerging urban forms of small-scale, culture-driven, often spontaneous, changes in built environment, which appears similar to the “classic” phase of gentrification in Anglo-American cities. Furthermore, even in the cases of state-led gentrification, processes are always diverse and results unpredictable as various factors such a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political situations, economic demands, strength of community bonds, and legal arrangements in land ownership all come into play. In these series of mediations, state and large capital’s attempts at gentrification are often frustrated and ending up producing unintended urban forms, which creates a potential for new forms of local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