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가톨릭신앙의 핵심을 다루는 1277년 3월 7일 파리대학 단죄 항목들인 “사멸한 신체가 수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되돌아오는 일은 생기지 않으며, 수적으로 동일한 것이 되살아나지도 않을 것이다”와 “미래의 부활에 대해 철학자가 동의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성으로 <미래의 부활을> 탐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이것은 오류다. 왜냐하면 철학자는 그리스도에게 순종토록 지성을 다잡아야하기 때문이다”를 중심으로 1277년 단죄 조치의 목적과 성격을 재조명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먼저 이 두 명제가 13세기 파리대학에서 활동하던 사상가들이 견지했던 사상과 일치하는 대상이 엄밀한 의미에서 없음을 보에티우스 다치아와 시제 브라방의 주요저작들을 분석하면서 밝힌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1277년 단죄 목록 전반의 특징인 익명성과 그에 따른 문헌학적 불명료성이 텅피에의 의도를 반영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리고 그 의도와 관련하여 텅피에의 단죄 조치를 특정 사상가 혹은 입장에 대한 단죄보다는 파리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거론될 수 있는 심각한 오류에 대한 예방조치로 이해해야 한다고 제안하려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examine the tenets and the nature of the Condemnation at the University of Paris in 1277, especially centering on the two propositions touching core values of Christianity in the Decree promulgated by Etienne Tempier: “Quod non contingit corpus corruptum redire idem numero, nec idem numero resurget”; and “Quod resurrectio futura non debet concedi philosopho, quia impossibile est eam investigari per rationem. - Error, quia etiam philosophus debet capivare intellectum in obsequium Christi”. This research first shows that those two articles corresponds none of the University members’ thoughts(including those of such figures like Boethius of Dacia and Siger of Brabant)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s. And we attempt to suggest that the anonymous character and the lack of philological and doctrinal precision of the decree reflect certain intentions of Etienne Tempier, the censor, and to pave a way to re-illuminate the Decree of 1277 not as a condemnation of some specific members of the University or their position, but as a prescriptive or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crucial errors which some might or would teach in the University of P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