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한국 사회에서 성폭력 피해는 트라우마론을 통해 여성의 삶에 심각한 고통으로,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한 개인의 치유 문제로 축소되고 있다. 젠더폭력의 구조적 원인과 효과에 대한 분석을 가로막는 이런 인식을 넘어서기 위해 본 연구는 생애사적 맥락에서 20·30대 여성이 구성하는 피해의미의 내용과 함의를 분석했다. 피해자 4인의 생애사를 통해 첫째, 성폭력 피해는 생애사적 조건과 자기 인식이 얽힌 복합적 경험이자 능동적 의미구성 과정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가족, 또래집단, 직장 등의 주요 사회적 관계를 통해 내면화된 성폭력 피해 통념과 젠더규범이 고통의 경중과 내용을 결정하고 있었다. 여성의 성적 무지와 수동성의 강조, 성판매 여성과의 구별짓기와 성적 평판의 영향력, 강간피해의 심각성과 귀책에 대한 통념 등이 여성들의 서사를 구조화하고 있다. 셋째, 젠더 규범의 전달자이자 피해 전후를 관통하는 삶의 곤란의 책임자로서 모성에 대한 기대, 비난이 피해 의미화에서 주되게 드러나고 있다. 이는 피해 원인이자 결과로서 취약한 심리적 상태와 무너진 사회적 관계, 불안정한 노동 지위나 열악한 가정환경, 독립이나 생계에 대한 부담이 모성 수행의 문제로 전가되는 젠더 효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성폭력 피해가 여성 개인의 고통 문제로만 다뤄지는 것이 아니라 계급, 세대, 문화적 맥락이 교차하는 젠더화된 삶의 사회적 고통으로서 이해될 필요를 제기한다.


The prevalent view of interpreting victims’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undervalues the reality of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to an individual trauma so that hinders from analyzing it into structural problem of gender violence. To overcome the limits of conventional way of perception/interpretation of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signification of sexual victimization and its implication to the society, by analyzing life stories of four 20’s - 30’s women. First,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is an activ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ir diverse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incident(s), societal common myths,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self-perception. Second, internalization of sexual violence myths and gender norm by interacting with significant others aggravates the gravity and the contents of their distress. Third, the interviewees reported not simply expectation but blame to their ‘mom’s, who are transmitters of traditional gender norms as well as managers in charge of their sufferings through life span. This reveals the gender effects that all the causes and the aftermath of sexual violence, disadvantageous social class, and burdens of living are shifted onto problems of fulfilling motherhood. The results show that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and victim’s life story should not be dealt with individual misfortune. Rather, it is needed to be understood as a social suffering of gendered lives which intersect woman as an individual with her class, generation, and cultural con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