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성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는 대학생 233명이 참석하였으며 이들은 각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을 하였다.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성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우울은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마음챙김은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울은 마음챙김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울한 대학생들은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모형도 적합한 것으로 드러나 대학생들의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성 사이에서 마음챙김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시기의 경험과 교육은 대학생들이 성숙한 인격체로 갈고 닦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이들이 우울을 극복하고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마음챙김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psychosocial maturity,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mindfulness. Two-hundred and thirty three college students completed instruments assessing depression, psychosocial maturity, and mindfulness. Structural analyse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 in relation to depression and psychosocial maturity. As a result, First, it showed the depression and psychosocial maturity negative correlation. Second, mindfulness and psychosocial maturity, whic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finally depression contributed negatively to mindfulness. One model for this set also revealed that among college students for depression and psychosocial maturity was confirmed that mindfulness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variables. Experience and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when the student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paving the plow into a mature pers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what they said that if you want to overcome depression and improve the psychosocial maturity, mindfulness can play an important r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