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특수교사들에게 안전에 대한 지식과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수행능력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관에서 장애학생으로 하여금 우발적인 사고 발생 후 적절한 응급처치를 통해서 손상을 최소화하고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특수교사들이 사고유형에 따른 응급처치를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또는 특수학급에서 장애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교사들이 경험하는 응급상황을 조사하고,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과 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에 소재한 특수학교(급) 특수학급 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수행능력 10개 문항 및 관련 지식 10문항의 총 20개 문항 설문지를 구성하여 응답을 수집하였고, SAS 9.1.3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은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관심 정도와 응급상황 경험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그밖에 성별, 연령, 교육수준, 근무지, 근무경력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응급처치에 대한 수행능력은 성별, 근무지, 근무경력,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관심정도, 응급상황 경험 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들이 근무 중 경험한 응급상황을 파악한 결과, 가장 많은 대상자가 경련을 경험했으며, 구토/설사, 고열, 출혈, 골절/탈구 순으로 많았으며, 그 외에 질식, 화상, 추락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를 위한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ㆍ보급되어야 하고, 사고 유형에 따른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을 현실화하여 교사들에게 제공할 것과 특수교사의 응급상황에 따른 처치방법에 대한 실태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content and practice skills for first-aid in the various emergencies and to provide procedures for minimizing the risk of further injuri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contingent accidents at special education settings. Three hundred and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from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rooms in general schools. In order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eatment method in emergencies at special education settings,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aid Practice Questionnaire was used. SAS 9.1.3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items i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knowledge of first-aid depending on interest and experiences of first-aid.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indicated in knowledge of first-aid depending on sex, age, education level, career of teacher.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 competency of first-aid depending on sex, place of work, career of teacher, interest and experience of number of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to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the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convulsion, vomiting/diarrhea, high fever, losing blood, fracture/dislocation in order, and then being suffocated, getting burned, getting hurt from a fall, being falle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i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providing the first-aid educational program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Furthermore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fact-finding on first-aid perform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