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은 제주 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제주 방언 격조사 교육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 하에 제주 방언 격조사의 문법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제주 방언의격조사 중에서도 해석 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격조사와 부사격조사를 중심으로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조사 의미 해석에 필요한 미명세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명세 이론은 Koenig(1999)과 Pustejovsky(1991, 1995)의 논의를 참고하였다. 다만이 논의에서는 기존 미명세 이론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여 조사와 같은 문범 범주에 해당하는 형태들의 의미 해석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격조사의의미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서술어 혹은 NP에 의해 중점이 부여되는 방식을 통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제주 방언의 주격조사 ‘-에서’, ‘-라’ 그리고 부사격조사 ‘-에’, ‘-이’ 의 문법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부사격조사 ‘-에’, ‘-이’는 개별 문장에서각각 ‘장소, 시간, 목적지(지향점), 대상’ 등의 문법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는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at how to the grammatical meanings of the Jeju dialect particles are interpreted. This study focus especially on disputable case of the subjective one and adverbial one. I firstly trace to the underspecific theory which treats matter of the interpretation of grammatical meaning of case for reference of Koenig(1999) and Pustejovsky(1991, 1995). I suggest the meaning of case is not fixed but predicates intensively endows it’s meaning (with NP occasionally) according to this theory for which I apply widely to the extend that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particles are involved in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The second, I clarify the grammatical meaning of subjective particles such as ‘-eseo’, ‘-ra’ and adverbial particles such as ‘-e’ and ‘-i’ of Jeju dialect. I ascertain the fact that adverbial particles such as ‘-e’ and ‘-i’ have the meaning of ‘place, time, target place(the source of direction), object,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