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제사법의 몇 가지 총론적 문제들은 예나 지금이나 국제사법의 발달에 있어 중요한 논제가 되고 있다. 국제사법이 국제법(국제공법)과 국가법(국내법) 중 어느 쪽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관해서는, 현대 국제사법학에서도 여전히 견해의 대립이 있다. 또한, 국제사법의 국제적 통일과 다양성의 요구 사이에서, 그리고 준거법결정의 확실성과 유연성의 요청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기하는 일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경을 넘는 사람의 이동이 빈번해지고 국제적 법률관계의 양상이 다양해지는 데 대하여, 연결원칙을 어떻게 변용시켜 갈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사람의 속인법을 어떤 기준에 따라 정하는 것이 타당한지의 문제, 속지주의의 개념을 역외적용까지 포함하여 재정립하는 문제, 그리고 당사자자치의 타당범위를 정하는 문제 등이 현대 국제사법학의 중요 과제로 떠올라 있다. 오늘날의 국제사법과 국제사법학은 각론에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함과 동시에 총론(일반이론)적인 논의를 병행함으로써 체계적인 접근을 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재판관할을 국가재판권의 대물적 한계로 본다든지, 민법 스스로 그 인적·장소적 효력범위를 국내적 사안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보면서 (좁은 의미의) 국제사법의 역할을 그 연장선상에 놓는 사고방식도 극복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고방식으로는 현대 국제사법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더구나 이러한 견지가 국제법설과 결부되는 경우에는, 국제사법의 공통적 입법추세로부터 국제관습법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각국은 국제공법의 일반원칙에 의하여 구속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자국 국제사법을 명확한 형태로 발달시키는 데 주저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국제사법의 활력 있는 발달이 저해될 수 있다. 아울러 실무가와 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국제사법학의 교육에 있어서도, 국제사법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과과정과 국가시험이 정비되어야 한다. 국제사법 개론강의를 3학점 정도로 제공하는 일은 모든 법학전문대학원과 법과대학에 필수요소라 할 수 있다. 나아가, 국제회사법, 국제계약법, 국제유가증권법, 국제금융법, 국제해상법, 국제운송법, 국제지식재산권법, 국제가족법, 국제상속법, 국제민사절차법, 국제상사중재(법), 국제도산법 등으로 각론강의가 적절히 개설될 필요도 있다. 국가시험에서의 국제사법의 비중도 개선을 요한다. 국가시험제도가 법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변호사시험과 사법시험에서 국제사법의 출제비중과 배점이 왜소화되어 있는 부분은 큰 문제이다. 국제사법은 국제민사소송법과 준거법의 문제를 포괄한다. 그리고 물권, 계약상 채권, 계약외 채권, 유가증권, 지식재산권, 해상 등의 재산관계로부터 사람, 친족, 상속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물품매매계약'만을 문제삼는 '국제물품매매협약'과 50 대 50으로 출제하는 것은 균형이 맞지 않는다. 국제물품매매협약에는 15-20% 정도를 안배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과목명은, 국제법과 노동법이 그러하듯이, "국제사법"이라고만 하면서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국제물품매매협약이 함께 출제됨을 명시하는 정도가 적절할 것이다. 현재의 "국제거래법"이라는 시험과목명은, 국제사법에 국제물품매매협약을 덧붙여 출제하고 있는 것과 맞지 않고, 법학도로 하여금 국제사법의 본질과 역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므로 시정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중장기적으로는 국제사법(국제민사소송법 포함)과 국제물품매매협약을 모두 필수과목인 "민사법"의 출제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학계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국가시험제도가 법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이러한 시험제도상의 문제에 대한 학계의 깊은 관심이 요망된다.


Some general issues of private internal law have been the focus of academic interest and it is no different today. Opinions still diverge on whether private international law should ideally exist either as public international law or national laws. It is also a difficult task to set a workable balance between the demands of certainty and flexibility in determining the applicable law. More concretely, there is an issue of how choice-of-law principles should adapt themselves to the increased frequency of persons' crossing the border and the diversification of cross-border relationships. Principal issues are, among others, which personal connecting factor should be preferred, how to reestablish the territoriality principle so as to take into account the notion of extraterritoriality, and how much role should be given to the party autonomy. Private international law and its academic study today are asked to deal with these and other issues in each substantive area, and such endeavors should be constantly reexamined and guided by considerations of general theory. As a related issue, Korean academia should also seriously question the widespread understanding in the Korean civil procedure law academia that conceptualizes international adjudicatory jurisdiction as international reach of national judicial power in terms of subject matter. Also questionable is the idea broadly shared in the Korean civil law literature that identifies a general limit to the personal and territorial reach of national civil law and regards it as the basi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Such emphasis on the international reach of national law cannot offer a functional basis of contemporary private international law. It may also hamper lively development of national laws in this area, because a concerted national lawmaking would possibly lead to the creation of a customary international law rule, which will bind each state. A teacher and researcher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should also ask how best to educate this important branch of law, in a way that meets its important role. Each law school or law faculty should essentially offer courses on Introduction to Private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Civil Procedure, and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addition, law schools and law faculties are advised to consider opening specific courses in their fields of specialization, such as international corporation law, international contract law, private international law of commercial papers, international banking law,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law, international maritime law,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law, international family law, international succession law, international bankruptcy, etc. State examination also needs a reform. Problematically, only a minimal importance is being attributed to private international law. There is a plain imbalance in assigning equal share to private international law and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 This does not match the significance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which covers diverse issues from international civil procedure to applicable law, and from civil and commercial cases to personal, family and succession cases. It is submitted that 15-20% share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CISG, given the broadnes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It is also submitted that the current name of the subject in the national bar examinations, "International Transactions Law" should be renamed to "Private International Law", as it used to called. Also, the CISG should only mentioned in the enforcement decrees which defines the material scope. In the long run, it is submitted that both private international law and the CISG could be made part of the required subject in the national bar examination. Sourc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reach of civil procedure law and civil law, Unification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Certainty and flexibility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rules, Habitual residence, Territoriality, Party autonomy, Education of private international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