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別會穀은 17세기 초 유성룡이 일본의 재침을 대비하여 마련한 환곡이다. 신설 초기 별회곡은 경상도 전세로 충당되었지만, 노비신공과 어염선세의 일부가 비축되면서 그 규모가 점차 확대되었다. 18세기 전반 정부는 지방아문이 독자적으로 운영하던 환곡을 통제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戊申亂이 끝난 영조 6년(1730) 별회곡의 구관처는 경상감영에서 비변사로 이관되었다. 이후 경상감영은 매년 별회곡의 회계내역을 비변사에 보고해야 했다. 비변사가 별회곡을 구관하기 시작한 이후 환곡 운영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중앙아문이 재정 보용을 위해 별회곡의 耗條를 적극 이전해 갔고, 둘째, 별회곡이 도내 신설된 환곡의 母穀으로 자주 출자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70만석에 달하던 별회곡은 18세기 후반 약 30만석으로 줄어들었다. 별회곡의 모곡이 주된 수입원이었던 경상감영은 재정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영조 29년(1753) 경상감영은 재정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營債를 발행하였다. 영채는 감영에서 주관하는 식리사업이었다. 그러나 영채는 37%의 이율로 운영되었고, 대구부민에게 한정하여 발행되었으며, 인족에게 책징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정조 4년(1780) 영남암행어사 이시수의 보고를 경상감영의 영채에 대한 대대적인 논의가 일어난다. 그리고 기나긴 논의 끝에 정조 5년(1781) 정조는 여러 신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종래 발행하던 영채를 전격 폐지하고, 그로 인한 감영의 재정손실분은 정부가 개입하여 충당해주는 ‘給代’안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경상도에 산재한 환곡 6만 3천석을 확보하여 ‘防債穀’으로 조성하였다. 방채곡은 감영이 직접 관리하였으므로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耗穀은 전액 감영재원으로 활용되었다. 이로써 열악한 경상감영의 재정상황이 개선될 수 있었다. 그러나 방채곡 조성과 별회곡 증가에 따른 모조 부담은 결국 경상도민이 떠안아야 했다. 즉, 경상감영에 대한 정부의 환곡정책은 의도치 않게 19세기 관과 민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내포하고 있었다.


Byulhoegok is hwangok established for provisions because of the suggestion of Yu, Sung-ryong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early stage, Byulhoegok was supplemented by land tax of Gyeongsang-do, but the scale was gradually increased while other financial resources were transferred. Byulhoegok secured like that was paid for institutions such as Gyeongsanggamyoung, Sanseong, Sugunjin, etc. and wage of the military. However, in about the 18th century, government started to control hwangok regional governors had. Meanwhile, most of hwangok of gamyoung, byung‧suyoung and tongjeyoung started to be managed by bibyunsa. Byulhoegok of Gyeongsanggamyoung of managing institution was transferred to bibyunsa in Youngjo 6th year(1730) according to the periodical stream. And then, Gyeongsanggamyoung should report accounting breakdown of Byulhoegok to bibyunsa every year. As Bibyunsa started to manage Byulhoegok, there was a great change for the management. First, central institution actively transfer mojo[for natural loss] of Byulhoegok. Second, Byulhoegok was often invested to hwangok established in the region. In the process, Byulhoegok of about 700 thousand suk was reduced to about 300 thousand suk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Gyeongsanggamyoung couldn't help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financial management. Gyeongsanggamyoung started to publish youngchae(營債) in Youngjo 29th year(1753) so as to get out of the financial crisis. Youngchae was sikri business supervised by gamyoung. But, during the managing process, the interest rate was 37% and it was published to only Daegu people. Furthermore, arrear was collected from the families. For Youngchae problems of Gyeongsanggamyoung, extensive measures were taken by report of Lee, Si-su, Youngnamam secret royal inspector of Jungjo 4th year(1780). After the long discussion, in Jungjo 5th year(1781), Jungjo collected opinion of several retainers, abolished Youngchae published before and adopted 'urgent countermeasure(給代案)' government supplements the financial loss by intervening. And, they secured 63 thousand suk of grain from the center and regions and established ‘bangchaegok(防債穀)’. Bangchaegok was managed directly by gamyoung, so the whole mogok(耗穀) occurred during the management was utilized as the financial resource of gamyoung. Therefore, financial situation of Gyeongsanggamyoung in difficulties could be improved a little. However, the burden of mojo by establishment of bangchaegok should be taken by Gyeongsang-do people. In other words, hwangok policy of government for the finance of Gyeongsanggamyoung included the factor causing conflicts between government and people in the 19th century unintention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