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1970년에서 2012년까지 한국 사회에서 발생한 134건의 저항적자살을 대상으로 유형 분류를 시도했다. 저항적 자살은 ‘당위형 자살’과 ‘실존형 자살’로 나눌 수 있다. 당위형 자살은‘강한 염원’을 바탕으로 하는 ‘소명의 실천행위’이고 대학생과 사회운동가를 비롯해비육체노동 종사자가 대부분이었으나 노동자 11명과 농민 2명도 포함됐다. 또 실존형 자살은 ‘강한 분노’에서 비롯돼 인간적 존엄성의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자기보존행위이며 노동자, 노점상 등 육체노동 종사자가 주로 포함됐다. 두 유형의 자살에는 각각 독특한 형태의 자살이 포함돼 있는데 당위형에서는자기귀책형의 자살이 있었고 실존형에서는 당위적 실존형의 자살이 나타났다. 자기귀책형 자살은 실패의 책임을 지배세력보다 자신에게도 돌리는 자살로 개인적자살과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또 당위적 실존형은 당위형과 실존형의 경계에 있는자살로 노동운동 과정에서 존재론적 분노에서 비롯됐으나 지식인의 언어로 자살메시지가 표출된 경우이다. 그밖에도 당위형 자살은 지배폭력의 압도성이 잘 드러나지 않고, 실존형 자살은 생존이 억압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적인생계형 자살과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suicide-as-protest cases committed from 1970 to 2012. Such suicides can fall under two categories: first, the normative type, which is a practice enacted as the display of morality with ‘strong wish’ rather than a condition of existence; second, the existential type, which is an act of self-preservation based on ‘strong rage’ from class struggles within everyday life, and which aims at recovering one’s dignity. Some of the normative type had a entailed guilty consciences about a soldier-like defeat. The normative-existential type had a detailed type in which a suicide letter had written from an intellectual. The former type lies between the suicide-as-protests type and the depression caused suicides, the latter of which lies between the normative type and the existential type. The violence of the ruling power appears overwhelmingly within the existential type more often than of the normative type. The existential type is not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poverty-motivated suic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