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 식민지기에 식민지 조선에서는 산업으로서의 대중문화가 출현, 성장했고, 이 대중문화를 향수하는 대중도 함께 등장했다. 대중문화를 경유하여 형성되는 대중의 성격과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이분법적인 평가 구도가 존재한다. 문화산업에 예속된 수동적 수용자 대 능동적인 해석자이자 의미 창조자라는 대립구도가그것이다. 이 글은 일제 식민지기 대중문화 속에서 대중의 행동, 특히 취향과 유행의 양상을 통해 이 이분법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 경계의 모호함과 뒤섞임을 혼종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주목한다. 이를 통해 식민지 대중문화 속 대중적 주체성의의미와 가능성을 타진한다. 이 시기 대중은 세대, 지역, 계급 등의 변수에 따라 서로 다른 취향과 유행을보여준다. 취향은 고상한 고급문화와 저속한 대중문화로 분화되었고, 유행 또한장르의 규칙과 대중의 선호에 따라 변화하였다.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사이에서, 지식계급과 민중 사이에서 취향의 차이가 인식되고 비판적 논점이 되었다. 유행의취약함과 가변성 또한 유사한 맥락에서 논란이 되었다. 하지만 이런 대립구도들은종종 경계를 허무는 해석들, 실천들을 통해서 허물어졌고, 급변하는 유행들을 통해서 서로 뒤섞였다. 대중은 대중문화 속에서 자기 욕망을 표현했고, 개인적인 비극과 극복의 서사를 공유했으며, 텍스트외부적 해석을 통해 저항적 해석을 공모하기도 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masses and mass culture in colonial Korea. In general, there is a dichotomy on the nature of the masses and mass culture . passive recipients versus active interpreters. The former represents the critical perspectives on cultural industry of the Frankfurt school, while the latter entails various versions of cultural studies. Although this dichotomy reflects certain dimensions of cultural reality respective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mbiguous fusion of these binary opposites, introducing the concepts of hybridity and hybridization. In colonial mass culture, Korean people gradually diverged out along generational, regional, and class categorical lines. With the creation of different cultural tastes, high and low-brow cultures developed. New fashions rose and quickly fell. In the mass media, disputes on desirable tastes and fashions occurred. However, these conflicts were often nullified through hybrid practices of the mass. Changing fashions fused. People often felt and acted as collective subjects, representing their own desires, sharing narratives of facing and overcoming personal tragedies, and conspiring resistant interpretations to use against colonial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