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근대계몽기(1984~1910)에 발간된 신문에서 여성 관련 시가(詩歌)를 추출하여 매체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시사(詩史)적 위상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특히 당대 공적 담론 유포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시가들이 매체의 특성과 여성 담론을 연결하여 달성하고자 했던 정치, 문화적 맥락을 분석하고 시가 장르가 여성 담론과 길항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형식적으로 볼 때 3.4조 또는 4.4조 가사체의 친숙한 음보율을 견지하는 이들 시가는 서술내용과 표현 방식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을 갖고 있다. 여성관련 주제를 풍자, 비판에 실어 강조한 시가들은 고양된 감정, 탄식 등으로 효과를 높였다. 대상 시가들은 근대 계몽기의 주도적 여성담론들을 유교적 전통 논리와 결합한 근대성 논리로 전유하여 종래 남성 영역이었던 부분까지 주제의 편폭을 확장하였다. 내용상으로 볼 때 첫째, 여성 교육을 주장한 시가들은 문명개화를 통한 봉건적 습속의 타파에도 관심을 두고 있었지만 궁극적으로는 자주독립국가 건설에 기여할 여성의 힘을 결집하려 한 계몽지식인들의 근대국가 기획과 맞물려 있었다. 둘째, 여성의 행위와 가치를 주제화한 시가들은 자녀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역할 제시와 남편의 활동을 돕는 내조자로서 갖춰야 할 행위 윤리를 권장하였다. 셋째, 계몽지식인들이 추구한 이상적 질서에서 이탈한 여성성에 대한 풍자와 조롱이 두드러졌다. 기생, 매음녀, 첩 등 국가적 이익에 방해가 된다고 여겨지는 여성은 사회질서를 파괴하고 진보국가 건설을 저해하는 부정적 표상을 갖고 있었다. 국채보상운동이 실패한 1908년을 기점으로 하여 여학생을 주제로 한 시가에서도 부정적 시선이 빈번히 드러났다. 해당 시가들은 당대 여성담론을 시대가 필요로 했던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으로 전유하는 한편, 여성의 다양한 행위들을 전통가치와 문명가치라는 기준으로 상대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poetry and poems related to women in the newspapers issued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nalyze them in terms of content, form, and connections to the media, and examine their status in the history of poetry 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Putting a special focus on Daehanmaeilsinbo, which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irculation of public discourse during those days, the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that those poetry and poems tried to achieve by connecting the media features to the women's discourse and traced the complexity of poetic forms in the traditional genres contending with the women's discourse and differentiating themselves into modern poetry. The subject poetry and poems addressed the leading women's discourse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ith the logic of Confucianism and modernity and thus expanded their scope even to the traditionally male sectors. First, the poetry and poems that insisted on women's education were interested in breaking down the feudal conventions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civilization and were ultimately in the line with the enlightening intellectuals' plan for a modern nation to solicit the power of women that would contribute to an independent and autonomous nation through education. Secondly, the poetry and poems on women found the top priority in the roles of women as mothers to raise children and in the acts and ethics of women as supportive wives to help their husbands. Finally, there were prominent sarcasm and mockery for the femininity of women that separated themselves from the ideal order sought after by the enlightening intellectuals. Women that were considered to hinder in the pursuit of national profit such as Gisaengs, prostitutes, and concubines were embodied as the symbols of evil to destroy the social order and disturb the construction of progressive society. Those poetry and poems relativized women's various acts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conventional and civilization values, monopolizing women's discourse with the ideological jus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