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표준문단 읽기 과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동일한 말샘플을 통하여 마비말장애 성인의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마비말장애 성인 10명과 일반 성인 16명이었다. 비음치 측정을 위한 과제로는 모음 연장,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 읽기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표준문단을 사용하여 자음정확도를 측정한 후, 평정자 20명에게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명료도, 말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에서는 마비말장애 성인 집단의 비음치가 일반 성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모음연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및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않았다. 자음정확도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가 말명료도와 말용인도에 미치는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말용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 and effect of PCC(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 and nasalance score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by reading task of standardized passage. Ten adults with dysarthria and sixteen normal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CC and nasalance score were measured through reading task of standardized passage. And,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were examined using visual analogue criteri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nasalance score of adults with dysarthria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adults group in reading sample by standardized passage. Second,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the nasalance score doesn’t show significant corelation with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CC is closely related to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but nasalance score is not related to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