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존의 권위적인 박물관과 달리 현대의 박물관은 역할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이루어지면서 박물관 전시는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전문박물관의 출현은 현대사회의 여러 전문영역에 대한 일반인들의 문화충족 욕구와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역할을 한다. 특히 90년대 이후 두드러지는 도자박물관은 전통도자는 물론 현대문화의 흐름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도자의 경향을 보여주는 매체로서 도자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문화의 확산을 통해 도자문화발전의 토대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자박물관의 전시연출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박물관의 개념과 현대사회에서 달라진 박물관의 역할 및 전문박물관의 성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전시와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시연출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문헌을 통해 조사 연구하였다. 그리고 도자의 분류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실제 도자전문박물관의 현황과 전시사례조사를 위해 박물관을 직접 방문 조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도자분류에 따른 연출사례와 연출매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현대의 도자전시는 다양한 연출기법과 연출매체의 활용으로 시각은 물론 관람객의 감성을 중시하는 연출경향을 띠고 있다. 또한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전시기법, 타 매체와의 협업과 첨단기기의 활용으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전시를 통한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도자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와 소통의 확대를 통해 도자문화의 발전적 토대마련을 꾀하고자 한다.


Unlike previous authoritative museums, the roles of museums are so diversified and subdivided that a museum exhibition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e advent of more visible professional museums provides an opportunity to satisfy ordinary people’s culture and curiosity about various professional areas of modern society and serves as a place performing a rol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ceramic museums that was distinctive since late 1990s is becoming the foundation of ceramic cultural developmen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public about ceramics and expansion of culture as the media showing various aspects of ceramics appearing in the flow of modern culture.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concepts of modern museums, and modern society’s new roles of museum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museums for the analysis about characteristics of ceramic museums’ exhibition display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of theoretical contents about exhibition displays for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ions and audiences. Furthermore, it analyzed display cases and display media according to ceramic classification by visiting a museum in person and collecting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s of ceramic professional museums and exhibition cases based on the concept of ceramic classification. Modern exhibitions of ceramics tend to display laying emphasis on both views and emotions of audiences through diverse display techniques and display media. Besides, their purpose is to maximize effects of communication by using exhibition techniques attracting audiences’ participation, cooperation with other media and high tech device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fully to lay the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ceramic culture by activating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by activating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rough exhibitions,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ceramic culture and expanding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