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노년기의 활동적인 여가는 삶의 질을 높이고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증명되고 있지만 텔레비전 시청 활동이 노년기 우울증상과 삶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 노인들은 신체적이고 생산적인 여가활동대신에 많은 시간 수동적인 좌식 여가활동, 텔레비전시청에 주로 참여하고 있다. 게다가 한국의 노인층은어느 연령집단보다도 높은 우울증상과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노인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의 회원국 가운데 지난 십여 년 동안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들이 주로 참여하고 있는 텔레비전 시청량과 노인들의 우울증상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고, 여가학과 노년학 등의 학제간 융합을 통해 고령화 사회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바람직한 노인 여가문화 구축 방안들을 제언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 결과는 다음과 같다. 65세 이상 남녀노인 10,674명을 대상으로 한 이차자료를 분석한 결과텔레비전 시청량은 노인들의 우울감을 높이는데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전반적 여가활동 만족도는 우울감을 감소하는데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년기 여가 활동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우리나라 노인들이 주된 참여도를 나타내고 있는 텔레비전시청 등의 좌식 여가문화는 보다 활동적이고 생산적인여가활동들로 대체되어야 함을 제기한다.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노인들의 여가 사회화를 위한 여가 교육과정책적, 사회적 노력들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Although physical leisure activity has been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omoting older adults' quality of life and aging well, it is not clear whether watching television is related to depression symptom in later life. Most older Koreans generally participate in the sedentary leisure activity rather than physical and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in their daily lives. They also show a higher depression and a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other age groups in Korea;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member countries over ten year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viewing and depression symptoms in later lif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are described that the present study us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Study of Korean Elderly Life Condition 2011' and included 10,674 participants age 65 and older. Results from the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1)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elevision watching and depression symptom and 2)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watching and depression symptom. Usefu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o cope with the aging society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