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과학예술포럼 14호에 게재된 동 제목의 1부에 이어지는 2부 논문으로써 독자의 편의를위해 본문에서는 1부의 서론을 반복 서술하였다. 1부에서 제시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 고속의 프레임레이트는 관객의 기능적 시각인지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 고속의 프레임레이트는 관객의 감성적 시각인지반응에 부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 모션블러의 부재는기능적 시각인지반응 중 편안함에 부정적인 영향을미쳐 불편한 느낌을 들게 하지만 반면에 선명한 느낌을 줄 것이다. 실사동영상을 실험재료로 사용한 3개의 실험이 통제변인의 통제에 있어 원활하지 못한 측면이 있어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통제변인을 통제할 수 있는 3D 동영상을 실험재료로 하여 2개의 주실험과 1개의 보조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4는 캐릭터가 도시거리에서 스트레칭을 하는 정적인 3D 동영상을 실험재료로 하고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실사동영상으로 진행한 실험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설1은 성립하고 가설2는 성립하지 않았다. 모션블러의 부재가 편안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24프레임에 대해서만 성립하였으며 반면선명함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성립시켰다. 실험5는 캐릭터와 카메라의 움직임을 과격하게 바꾸고 나머지는 실험4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실험4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결과를얻었으며 모션블러에 대한 가설3이 부분적으로 성립한 실험4와는 다르게 가설3 전체가 완전하게 성립하였다.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영향에 대한 실험을검증하고 보완할 목적으로 진행된 실험6에서는 실험5에 사용된 동영상을 사용하고 컬러그레이딩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앞선 5개 실험과는반대로 컬러그레이딩은 기능적 시각인지반응에는 영향이 미미하며 감성적 시각인지반응에는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60프레임의 고속 프레임레이트는 기능적 시각인지반응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감성적 인지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24프레임이 고속의 프레임레이트보다 고급스럽다는 것은 편견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second part connected to thefirst part of the same title inserted in the KoreaScience Art Forum Vol.14 and includes theintroduction of the first part repeatedly in the bodyfor reader's convenience. The hypotheses suggestedin the first part are as follows. Hypothesis 1:High-speed frame rate will have a beneficialinfluence on functional visual cognitive response ofaudience. Hypothesis 2: High-speed frame rate willhave a partial negative influence on emotionalvisual cognitive response of audience. Hypothesis 3:The absence of motion blur will make audiencefeel uncomfortable, having a negative influence oneasement among emotional visual cognitive responseof audience but will give them a sense ofvividness. As the control variables in three experiments thatused live moving image as experiment materialswere not smoothly controlled, to increase accuracyof the results, two main experiments and onesupplementary experiment were conducted by using3D moving image in which all control variables canbe controlled. Experiment 4 used a static 3Dmoving image where a character does stretching inan urban street and frame rate and motion blur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were not very different from experiments with livemoving image, and verified hypothesis 1 but nothypothesis 2. For the hypothesis that absence ofmotion blur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comfort,it was only valid for 24 frames, while thehypothesis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clarity was validated. For experiment 5, thecharacter and camera movement was drasticallychanged and the rest was the same as inexperiment 4. The overall results were similar tothose of experiment 4, and, unlike experiment 4where hypothesis 3 about motion blur was validatedonly in part, hypothesis 3 was completely validated. In experiment 6, which was conducted to validateand supplement the effect of frame rate and motionblur, the moving image used in experiment 5 wasused and color grading was used as an independentvariable. As a result, unlike in the previous 5experiments, color grading had a negligible effecton functional vision but a substantial effect onemotional vision. To discuss the overall results, high speed framerate of 60 frames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functional vision, and, contrary to expectation, doesnot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emotionalvision. Therefore, it may be an anachronisticprejudice that the traditional 24 frame is moresophisticated than high speed frame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