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양의 이상향은 자연을 제재로 하여 전통 문학과산수화에서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왔다. 특히 조선조는유교의 이상 국가 건설을 의도적으로 지향한 이데올로기적 국가였으므로 이상향에 관한 문화적 구성으로서 시와 산수화가 지속적으로 생산됐다. 본고는 이와같은 조선조의 이상향 전개를 작품분석을 통하여 조망하고자 한다. 우선 이상향을 구성하는 담론내용을살피면 국초의 강력한 유교국가 지향에도 불구하고당대의 이상향에는 고려조의 유 불 선이 절충된개념들이 혼재되어 있었다. 본격적인 유교적 이상향은중기 이후, 정치적 주체로 등장하는 사림의 산림적 이상향으로부터 이들이 경화사족화함에 따라 나타나는성시산림적 이상향으로 나누어 전개됐으며 또한 조선조 후기 이후에는 신분제 해체에 의한 중인층의 부상에 따라 그 동안 억압되었던 현세구복적 이상향과 도가적 이상향이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조선조 이상향의 변화에 관하여 각각의 이상향을 표상한 작품 <몽유도원도>,<곡운구곡도>, <청풍계도>, <민화 소상팔경도>, <도원문진도>를 통하여 분석한다. 이와 같이 산수화의형식으로 표상된 조선조 이상향의 장소성은 당대를살았던 주체들이 그들이 살았던 사회에 대한 인식과소망 등에서 비롯된 자연과 문화의 복합적 구성물로서 장소감을 넘어 장소정신으로 확장되면서 조선조의이상향을 변화시켰다.


The Asian utopia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in traditional literature and landscape painting witha subject of nature. Especially since Cho-Sundynasty was an ideological country intentionallydirecting to confucian country establishment, for thewhole Cho-Sun dynasty period, poems andlandscape paintings had been continuously producedas a literary composition regarding to utopia. Thispaper tries to take a view of utopia expansion ofCho-Sun dynasty through landscape painting workanalysis. Firstly, when observing the discussioncontents which consist utopia, there are notionscompromised of Korea dynasty's Yoo, Bul, Sunmingled in utopia of the time in spite of stronginclination to the confucian nation of early countryestablishment. The main confucian utopia had beenexpanded as being divided into Sung-Si-San-Limutopia which appears according toKyung-Hwa-Sa-Jok-Hwa from Sa-Lim's San-Limutopia appearing as a political subject after themiddle period. Also after late Cho-Sun dynasty,there appears double utopias, the upper class showsthe taoistic utopia and the lower class shows basicutopia which had been oppressed for a while due tothe rise of the people by hierarchial dismantlement. This paper analyses these kinds of changes ofCho-Sun dynasty utopia through works of<Mongyudowondo>, <Gokungugokdo>,<Chungpungke>, <Minhwa Sosangpalgyungdo>,<Dowonmunjindo> which expressed each of theutopia. Sense of place of Cho-Sun dynasty utopiawhich expressed into a form of the landscapepainting changed the Cho-Sun dynasty's utopia asthe main people living at the time expanded it tothe place spirit beyond feelings of place as acomposition of nature and culture which originatedfrom the hope and perception about the society theywere livin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