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각 사업체들로 하여금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및 이동량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하게 하는유해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조사제도는 지역사회, 환경단체, 규제당국 등으로부터 공공의 압력을유발하여, 궁극적으로 유해화학물질로부터의 인체유해성 수준을 저감하는 것이 정책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의 지역별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및 인체유해성의 추이를살펴보았다. 먼저, 국내 전체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 총배출량 수준은 미미하게 감소하였지만, 인체유해성 수준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살펴본 지역별 추이는 배출량 수준과 인체유해성 수준이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지역의 경우 배출량 수준은증가하였지만 인체유해성 수준은 감소한 반면, 대조적으로 배출량 수준은 감소하였지만 인체유해성 수준은 증가한 지역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 배출량 정보만 공개하고 있는 현 제도 하에서, 궁극적 정책목표인 인체유해성 수준의 저감을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시의 적절하게 공개해야 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The pollutant release & transfer register (PRTR) that mandates plants to disclosetheir toxic chemical releases to the public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reduction in healthrisks resulting from the emission of hazardous chemicals by generating public pressure onthe polluters. In this paper PRTR data for the period 2004 to 2012 has been analyzed toexamine the regional trends of total toxic releases in quantities and corresponding health riskscores (toxicity weighted measures). The results of the trend analysis at the national-levelshows that total release in kilograms decreased slightly, however health hazard levelsincreased significantly. The outcome of regional level trend analyses showed considerabledisparities between total toxic releases and health hazard levels. In particular, several regionswhich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otal toxic releases reported a reduction in health risklevels. By contrast, other regions which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total releases revealedsignificant increases in health hazard levels. Thus we conclude that disclosing total quantitybased information may lead to reductions in total releases, but not the health risks which arethe primary policy interest, thus information users and regulators are being misguided by aninappropriate meas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TR data needs to be thoroughlyprocessed and interpreted in order to convey meaningful information, especially in thecontext of human health ri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