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2, 3학년 학생 중 읽기부진 아동 13명과 일반아동 17명을 대상으로 단기/작업기억과제, 음운인식과제, 듣기이해과제, 추론과제를 실시하였다. 읽기능력과 읽기관련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읽기부진 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에 따른 변인 간의 차이 및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아동 전체의 읽기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을 찾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읽기능력과 단기/작업기억, 음운인식, 듣기이해, 추론 간의 상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특히 추론능력과 음운인식능력이 읽기능력에 대한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가장 주요한 예측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읽기관련변인 연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subvariances of reading comprehension in a group of poor readers. Thirteen poor readers and 17 normal readers at grades 2 and 3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sures assessing short-term/working memory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and inferential skills were administered.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vari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and inferential skills made the largest contribution().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es.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early assessment and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