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립생활의 구성요인 중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공동체관계 및 생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약2개월에 걸쳐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인권센터 이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수준은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수급 여부, 월소득 유무, 거주형태, 장애 발생시기,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역량강화 수준에서는 학력과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공동체관계 형성 수준은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거주형태, 장애 발생시기,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성 수준에서는 학력, 배우자 유무, 수급 여부, 월소득 유무, 중복장애 여부,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공동체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권, 역량강화 변인 모두 장애인들의 공동체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역량강화 변인만이 장애인들의 생산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인의 공동체관계 및 생산성을 높여 자립생활을 영위해나가기 위해서는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 및 재활과정에서 자기결정권 및 역량강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made an exploratory verification targeting severely-disabled persons on how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of the factors organizing independent living affect community relation and productivity of the disabled.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llected data for about 2months from May through July 2012 targeting the disabled using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and the Center for Human Right of the Disabled.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revealed First,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right of the disabled differed meaningfully depending on the variables such as age, academic ability, existence of spouse, receiving pension, monthly income, residential type, time of occurrenc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rating, and in the level of empowerment,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ctors like academic ability and disability rating. Second, the level of formation of community relation differed meaningfully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academic ability, existence of spouse, residential type, time of occurrence of disability, disability rating etc., and the level of productivity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cademic ability, existence of spouse, receiving pension, monthly income, multiple disabilities, disability rating etc.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of the disabled on their community relation, both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turned out to have a meaningful and positive (+) effect on the community relation of the disabled.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of the disabled on their productivity, this study found that only the variable of empowerment exercises a meaningful and positive (+) influence on the productivity of the disabled. Therefore,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are considered an important variable for enabling them to enjoy independent living in the future by strengthening community relation and productivity of the disabled. For this, it is required to fulfill social welfare an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and develop as well as revitalize a variety of programs related to the above.